[서울=뉴스핌] 노연경 기자 = "인천에 사는 환자가 경기도 전체를 뺑뺑 돌다가 결국 전라도까지 갔다. 응급처치가 늦어지면서 환자의 인지능력과 운동능력이 저하됐다. 운동능력이야 재활로 되지만, 인지능력은 되돌릴 수도 없다."

전국 곳곳의 상급종합병원 응급실 운영에 차질이 생기면서 환자들이 두려움에 떨고 있다. 전공의 사직 이후 의료공백이 6개월째에 접어들면서 응급실로 여파가 번지고 있다.

환자들은 상비약을 늘 구비해두는 방식으로 응급상황 대비하고 있지만, 자력으로 해결되지 않는 응급상황에서는 답이 없다며 응급상황이 발생하지 않길 바랄 수밖에 없다고 한탄했다.

15일 보건복지부와 지방자치단체 등에 따르면 충북대병원 응급실은 지난 13일부터 일시적으로 대부분의 진료를 중단했다. 

이곳 응급실은 6명의 응급의학과 전문의와 4명의 소아청소년과 전문의 등 총 10명이 번갈아 가며 당직을 서는데, 전문의 2명이 각각 휴직과 병가를 내면서 기존의 당직 체제를 유지할 수 없게 됐다.

반년간 이어진 의료 공백을 견디다 못한 전문의들이 속속 병원을 떠나면서 곳곳의 응급실의 운영이 파행을 겪고 있다.

[서울=뉴스핌] 윤창빈 기자 = 서울대학교 병원 응급실로 환자가 이송되고 있다. 2024.04.25 pangbin@newspim.com

세종충남대병원은 응급의학과 전문의 부족으로 이달부터 응급실 진료를 축소했다. 강원도 속초의료원은 응급실 전담의 5명 중 2명이 퇴사해 지난달 7일 동안 응급실 문을 닫아야 했다.

응급상황에서 제때 조치를 받을 수 없을지도 모른다는 공포감이 환자들 사이에서 번지면서 환자들은 스스로를 지키기 위한 방법을 강구하고 있다.

김미영 한국1형당뇨병환우회(환우회) 대표는 "환우회 회원들에게 저혈당으로 인한 응급상황을 대비할 수 있는 글루카곤을 늘 상비해 두고 있으라고 공지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글루카곤은 인슐린 주사로 저혈당과 고혈당을 오가는 당뇨환자들에게 꼭 필요한 저혈당을 올려주는 약물이다. 의사 처방이 꼭 필요해 응급상황 발생 시 응급실로 가야 처방받을 수 있다.

김 대표는 "환자들이 오랜 당뇨를 앓다 보면 관리가 가능하다고 생각해 글루카곤을 처방받아 오지 않는다"며 "비상 상황에서 의사 처방이 필요한 약물이 없다면 더 위급한 응급상황으로 이어질 수 있으니 회원들에게 평소 잘 사용하지 않더라도 지금과 같은 의료공백 상황에선 약을 꼭 구비하라고 조언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어쩔 수 없는 응급상황은 환자들이 대비할 수가 없다. 어린 환자들이 많은 1형 당뇨의 경우 응급실에 가서 초진을 받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김 대표는 "1형 당뇨의 전조증상으로 다식(多食), 다뇨(多尿), 다음(多飮) 등이 발생하는데 성장 과정에서 발생하는 현상이라고 여기고 넘어가다 의식을 잃고 응급실에 가서 진단 받는 경우가 많다"고 설명했다.

이어 "지난 5월에도 한 어린 환자가 응급실 뺑뺑이를 돌다가 인천에서 전라도까지 가서 1형 당뇨 진단을 받았다"라며 "다행히 생명에는 지장이 없었지만, 응급실에 너무 늦게 가는 바람에 인지능력과 운동능력이 저하됐다"고 말했다.

그는 "의식을 잃은 상태에서 응급실에 제때 가지 못하면 치명적인 장애나 뇌손상을 입을 수도 있는데, 환자들 사이에서 응급실에서 제때 치료받지 못할 수도 있다는 불안감이 번지고 있다"고 덧붙였다.

하지만 정부는 응급실 진료에 큰 차질이 발생한 상황은 아니라고 봤다. 권병기 보건복지부 필수의료지원관은 "아직 응급실 진료에 큰 부담이 발생하는 상황은 아니라고 본다"며 "다만 지속해서 지방자치단체, 관계 기관과 협력해 응급실 운영 상황을 살피고, 이를 통해 진료 공백이 없도록 관리하겠다"고 말했다.

yknoh@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