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연합뉴스)

 

7분기 연속 먹거리 물가 상승률이 처분가능소득(가처분소득) 증가율을 웃돌았다. 2분기에도 주요 외식 및 가공식품 가격이 줄줄이 인상되면서 소비자 부담이 이어지고 있다.

27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전체 가구의 월평균 가처분소득(세금·이자 등을 제외하고 소비·저축에 쓸 수 있는 돈)은 404만6000원으로 지난해 동기 대비 1.4% 증가에 그쳤다.

반면, 외식 물가 상승률은 3.8%로 가처분소득 증가율의 2.8배에 달했고, 가공식품도 2.2% 상승하며 1.6배를 기록했다. 즉, 먹거리 물가 상승 폭이 소득 증가 폭을 크게 앞지르면서 소비자 장바구니 부담이 심화된 것이다.

특히 햄버거(6.4%), 비빔밥(6.2%), 김밥(6.0%) 등 외식 품목 39개 중 37개의 물가 상승률이 가처분소득 증가율을 웃돌았다.

가공식품 부문에서도 설탕(20.1%), 소금(20.0%), 스프(11.7%) 등 세부 품목 중 절반 이상인 44개 품목이 가처분소득 증가율보다 높은 상승률을 보였다.

이러한 먹거리 물가 급등은 2022년 3분기부터 올해 1분기까지 7분기째 지속되고 있다.

2분기에도 김밥, 치킨, 햄버거, 피자, 과자 등의 가격 인상이 예고돼 있어 먹거리 물가 부담은 당분간 지속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