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송은정 기자 =낮 최고 기온이 36도에 육박하는 등 본격적인 무더위가 시작되며 실내 공기질 관리에 빨간 불이 켜졌다. 에어컨을 가동하기 위해 하루종일 창문을 닫고 생활하는 가정이 늘어났기 때문이다. 더군다나 기온이 높아짐에 따라 러브버그 등의 벌레가 증가하며 이들의 유입을 막기 위해 환기를 시키지 않는 가정도 많아졌다. 문제는 환기 횟수의 감소가 실내 공기질 악화로 직결된다는 점이다.

경동나비엔 환기청정기 신규 TV광고 환기청정기 작동컷 [사진=경동나비엔]

이에 따라 많은 가정에서 공기청정기를 가동하지만 환기 없이 공기청정기만 가동하면 오히려 실내 공기질은 더욱 악화된다. 오염된 공기가 배출되지 못한 채 계속 순환하기 때문에 환기로만 제거할 수 있는 이산화탄소, 라돈, 휘발성 유기화합물 등은 축적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최근에는 실내 공기질 관리를 위한 대안으로 환기와 공기청정을 동시에 실현하는 '환기청정기'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경동나비엔의 '환기청정기'는 실내의 오염된 공기는 외부로 배출하고 UV-LED가 탑재된 청정 필터시스템으로 외부의 공기를 깨끗하게 걸러 실내로 공급한다. 동시에 공기청정 기능으로 내부 공기를 정화하기 때문에 새로운 차원의 '실내 공기질 관리 솔루션'으로 떠오르고 있다. 특히 창문을 열지 않고도 환기를 할 수 있어 냉난방을 가동하는 여름과 겨울철에 활용도가 더욱 높아진다.

또한 실내의 오염된 공기는 열에너지를 회수하는 전열교환기를 거쳐 외부로 배출한다. 따라서 장마철 같이날씨가 궂은 날에도 환기가 자유롭고 겨울철과 여름철 냉난방 에너지를 각각 72%, 36%까지 절감한다. 환기가 필요 없을 때는 '공기청정' 모드로 미세먼지를 제거한 공기를 실내에서 순환시키면 된다. 또한 요리 시 발생하는 유해물질을 배출하고 신선한 외부 공기를 집중 공급하는 '요리모드', 쾌적한 수면 환경을 위해 조용하게 운전하는 '숙면모드', 간절기 냉방을 돕는 '바이패스' 모드 등 상황에 맞는 실내 공기질 관리 솔루션을 제공받을 수 있다.

단 한 대로 집안 전체의 공기를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는 점도 차별화 포인트다. 한정된 용량으로 제한된 공간만 케어하는 공기청정기로 집안 전체를 관리하려면 4~5대의 공기청정기가 필요하다. 이는 제품 구입 비용은 물론 전기세 등 소비자의 경제적 부담을 가중시키고 공간을 많이 차지한다. 반면, 환기청정기는 천장 내부에 설치된 덕트(공기 통로)로 공기를 출입시키기 때문에 공간을 전혀 차지하지 않는다. 또한 24시간 내내 작동해도 한 달 전기료가 최대 1만원 수준에 불과하다.

사용환경에 제약이 없는 점도 일반 공기청정기와 비교된다. 공기청정기는 요리를 할 때나 가습기를 가동할 때 사용할 수 없다. 요리매연이나 수분 입자가 공기청정기의 필터에 흡착돼 제품 수명을 단축시키기 때문이다. 반면, 환기청정기는 이러한 상황에서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어 활용도가 높다.

yuniya@newspim.com

경동나비엔 (KOSPI:009450)
과거 데이터 주식 차트
부터 5월(5) 2024 으로 6월(6) 2024 경동나비엔 차트를 더 보려면 여기를 클릭.
경동나비엔 (KOSPI:009450)
과거 데이터 주식 차트
부터 6월(6) 2023 으로 6월(6) 2024 경동나비엔 차트를 더 보려면 여기를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