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신수용 기자 = "이주배경 아동이 급격히 늘고 있는 상황에서 이들에 대한 교육을 등한시하는 건 국가적 손실이자 한국어를 세계에 알릴 기회를 놓치는 것이다. 이주배경 아동 절반 이상이 성장해 한국 사회에 남는다"

최근 서울 용산구에 위치한 바라카 작은 도서관(Blessing Library for Moms and Children)에서 이현경 이중언어교사(53)를 만났다. 오전엔 학부모들을 대상으로 한국어 교육을 하고 오후엔 아이들을 돌봤다. 인터뷰 중에도 히잡을 쓴 여성이 찾아와 통역을 부탁하고 이 교사의 도움을 찾는 전화벨도 쉼 없이 울렸다.

◆ 서울에 이중 언어 강사 73명...이주배경 아동은 2만388명로 증가세

[서울=뉴스핌] 신수용 기자 = 서울 용산구 바라카 작은 도서관에서 이현경 이중언어교사와 인터뷰를 진행하고 있다. 2024.05.16 aaa22@newspim.com

이 교사는 2017년부터 이중언어교사(이하 이중언어강사)로 근무한 8년 차 베테랑이다. 2018년 서울시 용산구에 이주민 가정을 위해 바라카 작은 도서관을 창립해 오전엔 학교에서 오후엔 이곳에서 아이들을 돌봤다. 이 교사는 "의사소통엔 문화와 언어에 대한 이해가 같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의 전공은 화학이다. 졸업 후 남편을 따라 6년간 이집트에서 살았다. 이 기간 아랍어를 배워 4년간 심장병에 걸린 아이들이 한국에서 수술을 받도록 돕는 국제 비정부기구(NGO)에서 활동했다. 귀국 후 통번역을 하다가 2017년 서울 동대문구 군자초등학교 병설유치원에서 아랍어 담당 이중언어 교사직을 처음 시작해 용산구 보광초와 서빙고초 등에서 근무했다.

이 교사는 "이주배경 아동 수는 늘고 있지만 이들이 학교에 가는 문턱마저 높았다"며 "아이들이 유치원이나 학교에 잘 들아가고 공부도 잘했음 좋겠어서 도와주던 중 학교 측에서 임용을 제안했다"고 설명했다.

이명박 정부 시기인 2009년 교육부의 다문화가정 학생 교육지원 정책에서부터 시작해 처음엔 '이중언어강사'로 불리다가 '다문화언어강사'로 혼재해 불렸다. 실무자들은 다문화언어강사와 이중언어(교실)강사, 한국어 강사 등으로 구분한다. 이 교사는 "각자 독립된 영역이 있는데, 다문화언어강사는 문화를 가르치며 학교에서 고용하는 경우가 많고 대부분 외국인"이라며 "이중언어강사는 언어에 특화한 직군으로 시간제로 근무하고, 한국인 강사는 외국인에게 한국어를 가르치는 분을 뜻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중언어를 하면서 한국어를 가르치는 게 이주배경 아동들에게 가장 효율적인 교육 방식"이라며 "한국어 강사들은 보통 영어를 할 줄 알고, 외국인인 다문화언어강사는 한국어 교육에 어려움이 있을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이주배경 아동들은 학습에 곤란을 겪는 경우가 많다. 이 교사는 "여기서 1학년부터 다닌 초등학교 3학년짜리 필리핀 아이를 만났는데 체육과 과학, 국어 등 과목명도 모르고 있어 충격이었다"며 "하루 종일 학교에서 가만히 앉아 상상의 나래를 펼치는 게 익숙해져 머리도 좋은 데 학습 자체를 포기한 상태였다"고 회상했다.

이주배경 아동들의 정서 안정과 한국 사회 적응을 돕는 것도 이들의 몫이다. 이 교사는 "자신들의 언어로 소통을 해주니 아이들 정서 안정에도 도움이 된다"며 "한 아이에게 아랍어로 인사하고 얘기했더니 주변 눈치를 보면서 '여기서 이러면 이상하게 본다'고 하더라"며 씁쓸한 표정을 지었다.

이주배경 아동 가정과 학교 사이 소통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이도 이중언어강사다. 이 교사는 "이주배경 학부모들은 학교에 갈 엄두를 못 낸다. 자녀가 몇 학년 몇 반인 지를 한국어로 얘기하기 어려워 수의실부터 통과가 안된다. 학교에선 이들이 아이들 교육에 관심 없다고 오해하는 데 전혀 그렇지 않다"고 말했다.

다양한 국적을 가진 이주배경 아동이 늘며 일선 현장에선 이중언어 강사의 수요가 높아지고 있지만 전국 이중언어 강사는 679명(2022년 기준)이다. 지난해 기준으로 이주배경 아동(초·중·고)은 전국엔 총 11만4212여 명이다.

이중언어 강사 수도 감소세다. 서울시 이중언어강사는 2018년 78명에서 2022명 73명으로 그 수가 줄었다. 서울시는 전국에서 두번째(2만388명·2023년 기준)로 이주배경 아동이 많다. 경기도가 4만8966명으로 가장 많다. 일선에서 관련 전문가가 부족하다 보니 자국 언어 이중언어강사가 있는 곳으로 이주배경 학부모가 전학 신청을 하는 경우도 있지만, 학교에선 이를 꺼리는 경우가 많다.

서울교육정책연구소 보고서(2020년)에 따르면 서울시 전체 초·중·고의 92.4%(1213곳)가 이주배경 아동 등 다문화 가정 학생이 1명 이상 재학 중으로 나타났다. 이주배경 학생 수도 증가하고 있다. 교육청 통계에 따르면 2023년 전국 이주배경 아동은 18만1178명으로 2020년 14만7378명에서 4만여 명 더 늘었다.

◆ 이중언어강사 수요 높지만 처우 열악..."1년마다 계약서 새로 써야"

이중언어강사 수요는 높아지고 있지만 이들에 대한 처우는 열악하다. 서울특별시교육청의 다문화언어(이중언어교실) 강사 설문조사 이들 중 90.90% 고용 조건의 불안(학교 배치 등)을 가장 큰 문제점으로 꼽았다.

이 교사는 최근 서빙고초를 그만둬야 했다. 그는 "최대 2년 미만 근무를 할 수 있었고, 실상 1년마다 계약서를 다시 써야 했다"며 "사실 올해도 더 일하기로 했는데 관련 사업 자체가 없어졌다고 했다"며 퇴사 이유를 밝혔다.

그는 "이 일은 시간제로 2만5000원 정도를 받는 데 생계를 해결하긴 어렵다"며 "내년에 어떻게 될지 모르는 데 갑자기 실직 상태가 되는 등 처우가 불안정하다"고 설명했다.

이 교사는 이중언어강사 등 한국어를 가르칠 수 있는 교사를 이주배경 학생이 있는 학교에 의무적으로 할당하는 '전문가 의무 할당제'를 대안으로 제시했다. 난민과 불법체류자 가정 아동까지 제도권 교육으로 포용하기 위해서다. 이 교사는 "이제는 이주배경 아동이 없는 학교가 거의 없다"며 "이주배경 아동이 구사하는 언어를 아는 교사 배치가 필요하고, 이들이 일정 비율 이상이면 담당 교사가 있어 이들과 의사소통할 사람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 교사는 "애들을 많이 보면서 저렇게 똘똘하고 성격 좋고 사랑스러운 애가 학교 밖 청소년이 될까 걱정"이라며 "말이 안 통하면 애들이 학교 가기 싫어지고, 이런 것들이 차츰 사회 문제가 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이 교사는 이주배경 아동들에게 가장 필요한 정책으로 '한국어 교육의 정규 과목화'를 꼽았다. 이 교사는 "한국어가 어려우면 공부하고 친구를 만나는 데 어려움을 느낄 수밖에 없다"며 "수업이 끝나면 아이들이 너무 지쳐 있기도 하고, 수업 시간이라 아이들이 느끼는 게 (한국어) 교육 효과가 더 좋다"고 제언했다.

바라카 작은 도서관에선 이주배경 아동과 학부모에 대한 한국어 교육이 이뤄지고 있다. 이 외에도 이들이 한국 생활 정착을 지원하고 있다. 바라카 작은 도서관은 용산에서 유일하게 아랍어를 구사하는 이들을 돕는 단체다. 이 교사는 "뜻 맞는 지인들과 만들었는데, '바라카'는 '기적'이란 뜻으로 이주배경 아동이나 학부모가 부담 없이 올 수 있도록 '작은 도서관'이라 이름 지었다"고 말했다.

바라카 작은 도서관은 개인의 기부로 운영되고 있다. 그는 "지자체에서 지원을 받을 통로가 없기도 하고, 저를 포함한 두 사람이 아이 33명과 학부모까지 돕고 있어 관련 행정 업무를 따로 보기 어렵다"고 고충을 말했다.

내년부터는 바라카 작은 도서관을 용산에서 운영하기 어려워진다. 용산구 재개발에 밀려 창신동으로 자리를 옮겨야 해서다. 이 교사는 "산동네로 이사를 가기에 이곳 학부모와 어린아이들이 오가기 어려울 수 있다"며 걱정하는 기색이 역력했다. 이 교사는 "한 어머니와 아이가 아까부터 밖에서 기다리고 있다"며 분주히 문을 나섰다.

 

aaa22@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