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최헌규 중국전문기자= 세상에 나온지 두돌도 채 안된 중국판 챗 GPT '딥시크'가 세계 AI 업계를 뒤흔들고 있습니다. 

중국의 AI 기술 굴기는 미국의 제재를 비웃듯 날로 강도를 더하고 있습니다.  연초 세계를 강타한 딥시크(DeepSeek) 돌풍은 트럼프 정부의 중국 기술 제재와 미중 AI 패권 경쟁을 한층 격화시킬것으로 보입니다.

2023년 7월 출범한 딥시크는 채 2년도 지나지 않은 2024년 말과 올해 1월 대형 언어모델 V3과 추론모델 R1을 연거푸 발표했습니다. 애플의 영어 중국어 앱 다운로드 1위를 기록했습니다.

딥시크 AI 모델은 미국의 제재에 대응, 저사양 칩을 채택한데다 개발에 든 비용도 우리돈 78억 원으로, 챗 GPT 개발비용 1400억 원의 18분의 1수준이라고 합니다.

이번 딥시크 V3과 R1은 개발비가 저렴한데도 기능에서 챗 GPT 오픈 AI 추론 모델을 능가한다고 합니다.

급기야 챗 GPT 회사인 미국 오픈AI는 딥시크의 기술 도용 여부에 대한 조사 방침을 천명했고 美 해군등 일부 기관들은 딥시크 사용을 견제하고 나섰습니다.

2024년 우리 과기정통부에 따르면 세계 핵심기술 수준 평가에서 미국을 100%으로 봤을때 중국은 82.6%를 기록, 이미 한국(81.5%)을 추월했습니다.

중국 기술 굴기가 맹렬합니다. 미국 보잉과 EU 에어버스에 이어 세계에서 세번째로 민항 여객기 C919를 만들어 상용 운항에 들어갔습니다.

보잉 737 계열의 경쟁 기종인 C919는 탑승 인원이 158명에 달하는 중대형급 민항 여객기인데 공급가가 보잉 등에 비해 20%나 저렴하다고 합니다.

[서울=뉴스핌] 최헌규 중국전문기자= 중국 베이징의 박람회에서 미국 기업이 부스에 미국 성조기와 중국 오성홍기를 설치해놓고 관람객들을 맞고 있다. 사진= 뉴스핌 통신사.    2025.02.01 chk@newspim.com

산업 기술과 경제 분야에서 중국이 역사상 유례가 드믄 성공을 거둔데는 미국의 도움이 절대적이었다는게 세계 전문가들의 진단입니다. 오늘의 중국은 미국이 만들었다는 얘기도 나옵니다. 

중국 자료에 따르면 미국은 1940년대 후반 막바지 국공내전 때 공산당의 실력을 과소 평가했고, 장개석의 국민당에 대한 지원에서 발을 뺐습니다.

당시 미국 정부는 중국 공산당이 권력을 잡기 쉽지않고, 설령 집권을 한다 해도 미국에 큰 위협이 못 될 것으로 판단했다고 합니다.

미국의 이런 전략적 오판은 중국 공산당이 대륙의 주인이 되고 훗날 미국을 위협하는 세계 G2국가로 성장하는 단초를 제공했습니다.

국공내전에서 승리한 중국 공산당은 건국후 한동안 국정 난맥상을 면치 못했지만 서서히 글로벌 체제에 발을 들이고 경제 재건에도 속도를 냅니다.

미국은 1971년 대만을 쫓아내는 대신 중국을 유엔에 가입시켰고 중일 수교를 지지해 서방 자본과 기술이 중국으로 흘러들게 했습니다. 서방과의 관계개선은 철강, 자동차, 기계, 전자 등 중국 산업 현대화를 촉진했습니다.

 

[서울=뉴스핌] 최헌규 중국전문기자= 사진= 중국 방송 캡처.  2025.02.01 chk@newspim.com

미국은 1979년 중국과 수교합니다. 기다렸다는 듯이 덩샤오핑이 개혁개방에 나섰고 미국 시장경제와 자본이 중국으로 쓰나미처럼 밀려들어 갔습니다. 중국은 인류사상 유례없는 폭발적인 경제성장을 기록합니다.

이뿐만 아니라 미국은 2001년 중국을 WTO에 가입시켜 수출 제조를 통한 초고속 성장의 길을 열어줍니다. 중국에게 WTO 가입은 달리는 말에 날개를 다는 격이 됐습니다.

중국은 2008년 베이징 올림픽을 성공적으로 치루며 전세계에 경제와 IT 기술, 문화 대국의 역량을 과시합니다. 베이징 올림픽을 계기로  공산당의 중국은 지구촌의 일원으로 단단히 자리매김했습니다.   

미국 원천 기술, 반도체는 중국이 제조와 수출 경제를 꽃피우는데 든든한 밑거름이 됐고, 미국이 발명한 스마트폰과 핀테크는 중국이 디지털 신경제로 전환하는 데 일등공신이 됐습니다.

마침내 2010년 중국은 일본을 제치고 경제총량 세계 2위국, G2국이 됐습니다.

워싱턴 정가는 뒤늦게 중국 굴기와 위안화 패권의 도전이 심상치 않다는 걸 깨닫기 시작했습니다. 오바마 대통령 시절인 2012년 미국은 중국 굴기가 위기라고 판단, 아시아 회귀 정책을 통해 중국 견제에 본격 나섭니다.

미국은 트럼프 1기 행정부 시절인 2017년 무렵부터 무역 관세 폭탄과 기술 제재를 주요 무기로 중국에 대해 전방위적인 압박에 돌입했습니다.

[서울=뉴스핌] 최헌규 중국전문기자= 사진= 중국 포탈 바이두.  2025.02.01 chk@newspim.com

미국의 대중국 무역 제재는 반도체 봉쇄를 비롯한 전면적인 기술 제재로 비화하고 있고, 이로인해 미중 두나라 사이엔 전략적 패권 경쟁이 점점 격화하고 있습니다.

트럼프 2기 행정부가 올해(2025년) 1월 20일 개막하면서 미국의 대중국 제재와 미중간 충돌이 한층 심화할 것이란 전망입니다.

트럼프 2기 첫 국무장관인 마코 루비오는 트럼프 대통령 취임전인 1월 15일 '중국은 지금까지 미국이 직면한 가장 강력하고 위험하며 대등한 적수'라는 말로 견제구를 날렸습니다.

일부 전문가들은 중국이 투키디데스의 함정(신흥 강대국이 절대 패권국에 도전하다가 좌절되는 것 )에 빠져들 것이라며 중국 굴기의 한계를 지적합니다.

결말은 예단할 수 없지만 미국의 압박 공세가 중국 공산당에 심대한 도전인 것만은 분명합니다. 중국은 이런 상황에 대해 100년 동안 없던 세계사적 대변국(일대 전환기)이라고 규정합니다.

중국 공산당은 미국의 압박과 신냉전 기운이 고조되는 현재의 세계 정세를 비상 상황으로 판단, 내부 체제 통합을 공고히 하는 동시에 기술독립과 자립자강 의지를 다지며 응전 태세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서울= 최헌규 중국전문기자(전 베이징 특파원) chk@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