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뉴스핌] 양가희 기자 = 정부가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공공기관의 전기·수소차 사용을 독려하고 있지만 새만금개발청과 서울 중구청에는 전기·수소차가 1대도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부와 산업통상자원부는 '공공부문 저공해·환경친화적 자동차에 대한 2023년 구매·임차 실적 및 2024년 구매·임차 계획'을 27일 공개했다.

지난해부터 국가기관·지방자치단체·공공기관은 '대기환경보전법'과 '환경친화적 자동차의 개발 및 보급 촉진에 관한 법률'에 따라 구매하거나 임차한 모든 신규 차량을 전기·수소차 등으로 해야 한다.

지난해 차량 구매·임차 실적이 있는 국가기관·지자체·공공기관 660곳의 신규차량 8844대 가운데 7516대(85%)가 전기·수소차인 것으로 나타났다. 의무구매·임차 비율 100%를 달성한 곳은 612곳으로 집계됐다.

전기차 충전소 [사진=뉴스핌]

의무구매·임차 목표율 100%를 달성하지 못한 기관은 48곳으로 확인됐다. 이 중 새만금개발청과 서울 중구청은 신규 차량 중 전기·수소차가 1대도 없었다. 공공기관 가운데 한국원자력의학원, 중소기업유통센터, 정보통신정책연구원, 한국문화예술위원회 등 16곳도 무공해차 비율이 0%였다.

전기·수소차가 기관장 차량으로 활용되는 곳은 225곳으로 전년 대비 18곳이 늘었다. 다만 환경부는 이들 기관의 명단은 공개하지 않는다는 입장이다. 환경부 관계자는 "해당 기관 명단은 법적 공개 대상이 아니다"라며 "그걸 공개하면 안 한(기관장이 무공해차를 사용하지 않는) 기관이 환경부에 항의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올해 공공부문의 차량 구매·임차 예정 대수는 5806대로, 이 중 전기·수소차는 5239대(90.2%)가 될 예정이다.

환경부와 산업부는 목표 달성에 차질이 없도록 분기별로 실적을 점검하고 무공해차 의무 구매·임차 목표를 달성하도록 독려한다는 방침이다.

정선화 환경부 대기환경정책관은 "공공부문에서 선도적으로 무공해차를 보급할 수 있도록 지난해부터 무공해차 의무구매·임차 비율을 100%로 강화했다"며 "올해도 공공부문의 지속적인 노력을 통해 무공해차 보급을 가속화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sheep@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