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이윤애 기자 = "무거운 책임감을 느낀다. 선거 운동 과정에서 왜 신외감법이 당분간 지속돼야 하는지, 신외감법 시행 과정에서 법안 취지와 다르게 운영되면서 파생된 문제가 무엇인지 등을 잘 파악했다"

한국공인회계사회(한공회)의 신임 회장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그 주인공은 제47대 한국공인회계사회 회장인 최운열 전 더불어민주당 의원이다. 최 신임 회장은 학계와 관가, 정가를 두루 거치며 '경제브레인', '정책통'이라는 평가를 받아왔다. 특히 20대 국회에서 신외감법(외부감사법 개정안) 입법을 주도한 '신외감법 아버지'이기도 하다. 회계업계에서는 이를 '최운열법'이라고 부른다.

국회에서는 신외감법 입법을 주도 했다면 이제는 현장에서 법을 성공적으로 안착시켜 회계 개혁 완수 임무를 맡게 됐다. 최 신임 회장이 당선 소감에서 이야기 한 "무거운 책임감"도 이 같은 맥락으로 해석된다.

[서울=뉴스핌] 이석훈 기자 = 2024.06.19 stpoemseok@newspim.com

최 신임 회장은 2016년 20대 민주당 비례대표로 국회에 입성했을 때도 300명의 국회의원 중 손에 꼽힐 정도로 관심을 받았었다. '금융전문가', '정책통', '경제민주화 대부'로 알려진 김종인 전 대표의 '경제브레인' 등 그를 수식한 단어들이다.

서강대 부총장 출신으로 국민은행, 우리금융지주 등 다수의 국내 금융사 사외이사와 초대 코스닥위원회 위원장,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 자본시장연구원장 등 경제 분야 주요 요직을 거치면서 쌓아온 경력에 대한 기대감이다.

최 신임 회장은 대학 교수 시절 '열사모'(최운열을 사랑하는 사람들의 모임)라는 특별한 팬들이 있다. 그를 지도교수로 둔 제자들로 이뤄진 모임이다. 2015년 정년퇴임하면서 제자들과 함께 1억원 규모의 장학금을 조성해 기부해 화제가 되기도 했다.

의원 생활 중에도 많은 성과를 냈다. 신외감법(외부감사법 개정안)을 발의하고, 통과를 주도해 '신외감법 아버지'로 통한다. 회계업계에서는 이를 '최운열법'이라고 부르기도 했다.

초선임에도 민주당에서 경제민주화 태스크포스(TF) 팀장을 맡아 정책수립을 주도했다. 최 신임 회장을 중심으로 민주당 내 '경국지모(경제를 공부하는 국회의원 모임)'이 운영됐으며 이인영 전 민주당 원내대표 등 동료 의원들이 공개적으로 '사부'로 모신다고 말했다. 회계사 출신인 민주당 박찬대 원내대표, 유동수 의원과 국민의힘 최은석, 조정훈 의원 등도 최 신임 회장과 두터운 친분이 있다. 그외에도 30년간 서강대 경제학과 교수로 지내며 집필한 '투자론' 등 책으로 공부해 공인회계사 시험에 합격한 여야 의원들도 그의 인맥이다.  

[서울=뉴스핌] 윤창빈 기자 = 최운열 한국공인회계사회 신임 회장. 2023.08.09 pangbin@newspim.com


최 신임 회장이 출마사에서 "정책당국, 정치권, 언론, 학계에 걸쳐 넓게 형성된 인맥을 바탕으로 공인회계사들의 자부심과 긍지를 향상시키기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 하겠다"고 말할 수 있었던 배경이다.

최 신임 회장에게 주어진 임무는 회계개혁 완수다. 최 신임 회장이 쟁쟁한 두명의 후보가 있음에도 46.1%(6478표)라는 압도적인 표를 얻은 이유다.

신외감법은 ▲지정감사제 ▲표준감사시간 ▲내부회계관리제도 등 회계개혁 3법을 말한다. 도입 6년째를 맞은 신외감법은 정부가 전면 재검토를 추진하며 존속 위기에 놓여있다.

최 신임 회장은 "우리나라의 회계투명성 지표는 선진국에 비하면 아직 갈 길이 멀고 계속해서 더 노력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신외감법 정신이 뿌리 내리기도 전에 이를 원점으로 돌리려는 거센 압력에 직면하게 됐다"며 "정재계에서의 경험과 교수로서 쌓아온 이론적 논리적 지식을 바탕으로 지정제를 지키겠다. 신외감법을 발의한 자로서 신외감법을 지켜나가겠다"고 약속했다.

아울러 정부가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 참여 기업에 인센티브로 주기적 감사인 지정 면제 카드를 제시한 것과 관련 "정부와 갈등을 겪는 한이 있더라도 서로 이해의 폭을 넓히려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지배구조와 회계 투명성은 'or'(또는)가 아니라 'and'(그리고)의 개념으로 가야한다"며"(주기적 감사인 지정제를) 포기하면 밸류업이 아니라 밸류다운이 될 것"이라고 직격했다. 

yunyun@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