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뉴스핌] 신도경 기자 = 정부가 '인플루엔자 대유행 대비·대응 계획'을 6년 만에 개정해 신·변종 인플루엔자에 대한 조기 위험 신호 탐지를 강화한다.

질병관리청은 코로나19 이후 다음 팬데믹 대비를 위한 '인플루엔자 대유행 대비·대응 계획' 전면 개정 초안을 마련했다고 20일 밝혔다.

인플루엔자는 역사상 가장 큰 유행과 사망을 초래한 대표적인 호흡기 바이러스 질환이다. 인플루엔자 대유행 대비·대응 계획은 신종 또는 변종 인플루엔자 대유행에 대비한 내용을 담는다. 질병청은 2011년과 2018년 두 차례 개정 후 6년 만에 계획안을 개정한다.

[자료=질병관리청] 2024.06.20 sdk1991@newspim.com

최근 위험도가 높은 인플루엔자는 철새, 소 등을 통해 감염되는 조류인플루엔자다. 동물에서 사람으로 감염된 사망한 사례가 계속 보고되고 있기 때문이다. 최근 포유류인 젖소 간 조류인플루엔자 감염이 미국에서 전파돼 사람 간 전파도 가능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이번 '인플루엔자 대유행 대비·대응 계획'은 이전 계획안에 비해 조기 감시를 통한 유행 발생 전 단계 위험신호 탐지 내용이 담긴다. 백신 개발을 100일 또는 200일로 단축하기 위한 전략, 원헬스 전략을 통한 인수공통감염의 공동 감시도 새롭게 추가된다.

질병청은 감시 체계를 강화하기 위해 국외 발생 감시와 국내 유입 범위를 확대한다. 변이 바이러스를 신속히 확인하는 검사법도 개발한다. 진단과 자원에 대한 준비를 철저히 하기 위해선 초기 6개월 내 대응할 수 있는 수준의 치료제·방역물자 등을 사전에 비축할 예정이다.

백신 연구 개발을 위한 다양한 백신 플랫폼 개발도 과제로 선정된다. 선정된 우선순위 병원체에 대한 시제품을 사전에 개발해 라이브러리를 구축할 예정이다. 대규모 접종을 위해 접종센터 인프라 등도 미리 구축할 방침이다.

질병청은 인플루엔자 대유행 대비·대응 계획 개정안에 대한 전문가 논의를 진행할 예정이다. 이후 전문가 의견을 수렴해 조속한 시일 내에 최종계획을 확정할 계획이다.

지영미 질병청장은 "향후 언제라도 발생할 수 있는 신종 인플루엔자에 대비해 전략을 수립하고자 한다"며 "이번 인플루엔자 대유행 대비·대응 계획을 향후 국제사회에도 공유해 글로벌 공중보건 위기 대응을 위한 협력을 선도하는 계기로 삼겠다"고 덧붙였다.

sdk1991@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