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송은정 기자 =중소기업중앙회는 5월31일 ~ 6월5일 중소기업 500개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중소기업 경영애로 및 2024년 하반기 경기전망 조사' 결과를 20일 발표했다.

[사진=중소기업중앙회]

조사결과에 따르면 2024년 하반기 전반적인 경기전망이 호전될 것이라는 응답한 기업은 12.0%다. 2024년 상반기 경영실적 결과('호전됐다' 응답 8.2%)와 비교하면 더 많은 기업이 향후 하반기 경기전망을 보다 긍정적으로 내다봤다.

중소기업의 경영상황을 알 수 있는 항목별 경기전망에서는 2024년 상반기 경영실적 대비 2024년 하반기에 '호전'될 것으로 응답한 기업의 비율이 모든 항목에서 소폭 증가했다.

분야별로 보면 올 하반기에 상반기 실적 대비 ▲매출(10.2%→13.6%) ▲영업이익(7.4%→12.0%) ▲자금사정(7.4%→10.0%) ▲공장가동률(10.9%→12.8%) 모두 호전될 것으로 전망했다.

역계열 추세 항목인 ▲인력수준(7.8%→6.6%) ▲재고수준(14.0%→11.7%) ▲설비수준(6.8%→5.3%)에서도 '과잉'으로 응답한 기업의 비율은 상반기 대비 감소했다.

2024년 상반기에 겪었던 주요 경영 애로요인(복수응답)은 ▲원자재가격 상승(43.8%) ▲내수 부진(41.8%) ▲인건비 상승(35.4%) ▲금리 상승(19.6%) 등으로 조사됐다.

하반기에 예상되는 주요 경영 애로요인으로는 ▲원자재가격 상승(40.8%) ▲내수 부진(40.8%)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인건비 상승(32.8%) ▲금리 상승(19.2%)이 뒤를 이어 상반기 경영애로 요인이 하반기에도 지속될 것으로 전망됐다.

한편, 응답 중소기업 절반 이상(54.8%)은 내수경제 예상 회복 시점을 '2026년 이후'로 응답했다.

'2025년'에 내수경제가 회복할 것이라고 응답한 기업이 36.4%(상반기 18.2% + 하반기 18.2%)로 나타났다. '2024년'에 회복할 것이라고 예상한 기업은 8.8%(상반기 2.2% + 하반기 6.6%)에 불과했다.

2024년 하반기 최우선 경영전략으로는 비용절감·구조조정 등 경영 내실화(27.0%)를 가장 많이 응답했다. 뒤이어 ▲경영 리스크 관리(20.2%) ▲핵심 인력 유지 및 역량 강화(18.4%) ▲외형 성장(10.4%) 순으로 나타났다.

중소기업의 활력 제고를 위해 가장 필요한 정책(복수응답)으로는 ▲세금 부담 완화(51.8%) ▲금융 지원(42.8%) ▲인력난 해소(28.8%) ▲원자재 수급 안정화(20.4%) 순으로 조사됐다.

추문갑 중기중앙회 경제정책본부장은 "하반기 중소기업의 경영 전망은 다소 개선될 전망이나 개선폭이 크지 않고, 단기간에 경기회복을 기대하기 어려운 상황"이라며 "정부는 중·단기적 내수 활성화 정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하면서, 세 부담 완화 및 금융 지원을 통해 중소기업이 투자 여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한다. 또한, 노동정책 유연화와 규제 완화 등 중소기업이 성장기반을 확보할 수 있도록 정책 지원을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yuniya@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