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는 알파경제가 생성형 AI(인공지능)를 이용해 제작한 콘텐츠다. 기사 정확도와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교차 데스킹(Desking) 시스템을 구축해 양질의 기사를 제공한다.

사진=연합뉴스

오는 21~22일 '인공지능(AI) 서울 정상회의'가 개최되는 가운데 AI 혁신, 포용성 원칙에 관한 논의 및 공동 합의문인 '서울 선언' 채택이 추진될 예정이다. 

 

20일 대통령실은 이번 회의를 통해 한국이 AI 주요 3개국(G3)으로 도약하는 발판을 마련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회의는 지난해 11월 영국 블레츨리 파크에서 열린 'AI 안전성 정상회의'의 후속으로, 윤 대통령과 리시 수낵 영국 총리가 공동 주재한다. 

 

박상욱 대통령실 과학기술수석은 "AI 서울 정상회의를 바탕으로 확보한 디지털 AI 규범의 글로벌 리더십을 통해 우리나라가 AI 선도 국가로서 글로벌 영향력을 높이고 AI G3 국가로 도약하는 발판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감을 표명했다.

 

왕윤종 국가안보실 3차장은 "각국 정상들은 글로벌 AI 기업 CEO들과 안전성, 혁신, 포용성 등 AI의 핵심 가치를 기반으로 한 거버넌스, 즉 규범에 대해서 논의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그는 지난해 첫 회의가 안전성에 초점을 뒀다면 이번 회의는 포용과 혁신까지 의제를 확대한다고 덧붙였다.

 

21일 오후 화상회의 방식으로 열리는 정상 세션은 윤 대통령과 수낵 총리가 회의를 주재하며, 주제는 'AI 안전성 정상회의를 토대로, 혁신적이고 포용적인 미래로'다. 

 

두 정상은 기고문에서 "한국과 영국은 AI 기술의 잠재력을 활용해 더 나은 세상을 만들기로 했다. 서울에서 AI 잠재력을 완전히 실현하기 위한 혁신·안전·포용성 세 가지 원칙을 제시할 것"이라고 밝혔다.

 

22일 서울에서 개최되는 장관 세션은 한국과 영국 장관이 공동 의장을 맡아 진행되며, 중국은 장관 세션에만 참석할 예정이다.

 

사진=AI 서울 정상회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