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뉴스핌] 이정아 기자 = 올해 1분기 전 세계 폴더블폰 시장에서 중국 화웨이가 삼성전자를 앞질렀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23일(현지시간) 시장조사기관 테크인사이츠에 따르면 화웨이는 올해 1분기 전 세계 폴더블폰 시장에서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257% 급성장하면서 1위에 등극했다.

화웨이는 책처럼 세로로 접히는 폴드형태의 폴더블폰 부문에서 1위를 기록했고, 그 뒤를 삼성전자와 아너가 이었다.

삼성전자의 폴더블폰 시장 점유율은 전년 동기 대비 25% 감소했지만 조개껍칠처럼 가로로 접히는 클램셸(조개껍데기) 형태의 플립폰 시장에서는 여전히 선두 자리를 지켰다.

업체별로는 레노버 산하 모토로라가 클램셸 폴더블폰 '레이저' 시리즈로 약진하면서 연간 성장률이 무려 1260%나 뛰었다.

이어 아너(+480%) 비보(+331%) 샤오미(+41%)도 강한 성장세를 드러냈다. 반면 점유율이 줄어든 업체는 오포(-75%)와 삼성전자(-25%)뿐이었다.

중국 폴더블폰 시장은 전년 동기 대비 94% 성장한 것으로 조사됐다. 중국 소비자들이 플립형보다 폴드형을 선호하면서 폴드형폰이 전체 폴더블폰 시장의 확대를 이끈 것으로 분석된다.

북미 폴더블폰 시장도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43% 커졌으나 중국과 달리 플립형 제품이 대세였다. 북미 시장에서는 모토로라가 삼성전자를 제치고 선두에 올랐으며 삼성전자는 2위, 원플러스가 3위를 기록했다.

삼성전자는 지난 2019년 세계 최초로 폴더블폰을 출시했다. 전 세계서 처음 선보이는 폴더블폰은 소비자의 궁금증과 구매력을 자극하며 시장 점유율 60~70%까지 육박했으나 최근 중국업체들의 추격이 이어지고 있다.

특히 애국소비가 활발한 중국 시장에서 삼성전자의 고전은 계속되고 있다. 중국 시장은 자국 소비를 우선하며 외국 제품인 삼성전자는 물론 아이폰 또한 견제하고 있다.

중국 스마트폰 시장에서 1위를 차지했던 아이폰은 올해 1분기 4위로 내려앉았다. IDC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중국 스마트폰 시장 순위는 아너(17.1%), 화웨이(17.0%), 오포(15.7%), 애플(15.6%) 순이다.

한편 삼성은 폴더블폰 시장에서 중국 업체와 초격차 실현을 위해 오는 7월 차세대 폴더블폰인 갤럭시Z플립6·폴드6를 프랑스 파리에서 공개할 예정이다.

업계에 따르면 이 제품은 인공지능(AI) 기능이 탑재됐고, 새로운 UTG(Ultra Thin Glass)를 도입해 액정 내구성이 강화됐다. 

중국 베이징 화웨이 플래그십 스토어 직원이 화웨이 퓨라70 스마트폰을 들고 있다. [사진=로이터 뉴스핌]

plum@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