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이나영 기자= 최근 미국 '생물보안법' 입법절차가 가시화되고 있는 가운데 글로벌 위탁개발생산(CDMO)기업 간 미국 수주 물량 확보를 위한 각축전이 심화되고 있다. 중국 바이오 기업들의 입지가 좁아지고 글로벌 CDMO 시장이 재편될 기류가 보이는 만큼 국내 기업들이 선제 대응에 나서고 있다.

13일 업계에 따르면 중국 최대 CDMO 기업 우시바이오로직스와 우시앱텍이 바이오USA(2024 바이오 인터내셔널 컨벤션'에 불참한다는 소식이 전해지며 국내 CDMO 기업의 성장 모멘텀이 주목받고 있다. 삼성바이오로직스를 비롯해 프레스티지바이오로직스, 에스티팜 등이 관련주로 꼽힌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미국 등 다수의 글로벌 제약사를 고객사로 보유하고 있는 세계 4위 CDMO 기업이다. 1분기 기준 사상 최대 실적을 달성한 만큼 내년 4월 완공을 목표로 5공장 증설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5공장이 준공되면 총 78만 4000리터의 생산능력을 보유해 글로벌 1위로 올라서게 된다. 더불어 미국 내 중소형 CDMO 인수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유전자 이미지. [사진=게티이미지뱅크]

프레스티지바이오로직스는 바이오의약품 전문 CDMO 기업으로 총 15만 4000리터 규모 국내 3위에 해당하는 생산능력을 보유하고 있다. 1~4공장은 국내 식약처 KGMP와 유럽 EU-GMP 인증 경험을 갖춘 국제 규격의 최신식 제조 시설이다. 더불어 우시바이오와 가장 유사한 싱글유즈(Single Use, 일회용 비닐백) 기반 스케일 아웃(Scale out) 기술이 주요 경쟁력이다. 현재 셀트리온, 알테오젠 등 지속적으로 트랙레코드를 축적하고 있으며, 미국 CDMO 시장 진출을 위해 TFT를 신설했다. 또한, 론자 출신 중국 영업 전문가 영입을 통해 시장 확대에 주력하고 있다.

이외 동아쏘시오그룹 CDMO 계열사 에스티팜은 원료의약품 전문 CDMO 기업으로 올리고 핵산 치료제의 원료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를 글로벌 바이오기업 등에 공급하고 있다. 저분자화합물(Small molecule) API 공급사로 시작해 2020년부터 메신저리보핵산(mRNA) CDMO로 사업을 확대했다. 관련 누적 수주 규모는 250억원이다.

글로벌 CDMO 시장 선점을 위해 정부도 발빠르게 움직이고 있다. '세계 1위 바이오 의약품 제조 허브' 도약을 목표로 오는 2030년까지 총 17조 7000억원 규모 민간투자를 지원하기로 했다. 또, 식품의약품안전처가 규제 혁신을 예고하며 지원 확대 노력이 더해지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세계적으로 바이오의약품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빅파마들이 생산시설 투자보다 안정적 공급이 가능한 CDMO를 활용하는 추세"라며 "이에 더해 미국 생물보안법으로 국내 CDMO 기업에게 우호적인 상황이 펼쳐지고 있기 때문에 민관이 힘을 합쳐 적극적인 시장 선점 조치가 필요하다"고 전했다. 

nylee54@newspim.com

삼성바이오로직스 (KOSPI:207940)
과거 데이터 주식 차트
부터 4월(4) 2024 으로 5월(5) 2024 삼성바이오로직스 차트를 더 보려면 여기를 클릭.
삼성바이오로직스 (KOSPI:207940)
과거 데이터 주식 차트
부터 5월(5) 2023 으로 5월(5) 2024 삼성바이오로직스 차트를 더 보려면 여기를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