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뉴스핌] 정성훈 기자 = 지난 2월 고용보험 가입자가 전년 대비 22만6000명 늘어나는데 그쳤다. 지난 3월부터 4개월 연속 20만명대 증가폭을 나타냈다. 

업종별로는 제조업·서비스업이 늘어난 반면 건설업은 감소해 희비가 엇갈렸다. 다만 제조업 고용보험 가입자 수 증가 폭은 지난해 10월 이후 9개월째 내리막길을 걷고 있다. 섬유제품 고용보험 가입자가 1년 넘게 전년 대비 마이너스를 기록하고 있는데다, 금속가공, 자동차 등 주요 제조업 고용보험 가입자도 꾸준히 줄어드는 추세다. 

특히 금속가공·식료품·자동차 등 제조업을 중심으로 외국인 고용보험 가입자 수 증가세가 뚜렷하다. 내국인이 꺼리는 빈 일자리를 외국인들이 빠르게 메워나가고 있다. 고용허가제(E9, H2)로 국내 입국하는 외국인 90% 가까이가 제조업에 집중돼 있다.         

◆ 6월 기준 고용보험 가입자 1540만9000명…전년비 22만6000명↑

고용노동부가 8일 발표한 '2024년 6월 고용행정 통계로 본 노동시장 동향'에 따르면, 올해 6월 말 기준 고용보험 상시가입자는 1540만9000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22만6000명(1.5%) 증가했다. 제조업(4만명)과 서비스업(19만2000명)에서 크게 늘어난 반면, 건설업(-1만명)은 소폭 줄었다. 

'24년 6월 고용행정 통계로 본 노동시장 동향 [자료=고용노동부] 2024.07.08 jsh@newspim.com

고용보험 가입자 증가는 외국인 고용보험 가입자 증가에 따른 영향도 있다. 6월 전체 고용보험 가입자 22만6000명 중 고용허가제 외국인 증가분(5만2000명)을 제외하면, 내국인 가입자는 17만4000명 늘었다.  

고용허가제 외국인의 고용보험 가입자 수는 지난해 6월 말 18만4000명에서 올해 6월 말 23만6000명으로, 1년 간 5만2000명 늘었다. 지난 2022년 6월(5만8000명)과 비교하면 4배 이상 증가한 것이다(아래 표 참고).  

고용부 관계자는 "미가입된 외국인 근로자가 고용보험에 당연적용으로 가입한 효과와 지난해 외국인력 규모 확대에 따른 최근 신규 채용 증가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했다"면서 "향후 외국인력 규모가 확대되면서 이러한 영향은 당분간 지속될 전망"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고용허가제 외국인의 89.6%가 제조업에 집중돼 내국인들이 꺼리는 제조업의 빈 일자리를 외국인들이 채워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조업 분야에서도 금속가공, 식료품, 자동차, 기타운송장비 등 분야에서 증가세가 지속되고 있다.

'24년 6월 고용행정 통계로 본 노동시장 동향 [자료=고용노동부] 2024.07.08 jsh@newspim.com

제조업 고용보험 가입자 수만 놓고 봤을 때는 전년 대비 늘었지만, 증가 폭은 오히려 주는 추세다. 

6월 말 기준 전체 제조업 고용보험 가입자 수는 384만9000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4만명(1.1%) 증가했다. 다만 증가 폭은 지난해 10월부터 9개월 연속 감소세를 나타냈다. 올해 6월 기준 고용허가제 외국인 당연가입 증가분을 배제하면 6000명 감소했다. 

서비스업 고용보험 가입자는 소폭 감소했지만, 20만명대 내외를 꾸준히 유지한다. 6월 말 기준 서비스업 가입자 수는 1064만2000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19만2000명(1.8%) 늘었다. 보건복지, 사업서비스, 전문과학, 운수창고 등에서 증가세가 이어졌고, 숙박음식업은 증가세가 둔화했다. 반면, 도소매, 정보통신은 감소 폭이 확대됐다. 

◆ 구직급여 신규신청자 8만4000명…1인당 152만1000원 지급

올해 6월 구직급여 신규 신청자는 8만명대 초반까지 떨어졌다.

6월 한 달간 구직급여 신규 신청자는 8만4000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3000명(-4.0%) 감소했다. 제조업(-1900명), 교육서비스업(-1300명), 사업서비스(-500명), 도소매업(-400명) 등에서 감소했다. 반면 건설업(1500명), 정보통신(300명), 공공행정(200명) 들에서 늘었다. 

전체 구직급여 지급자는 62만3000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1만9000명(-3.0%) 감소했다. 

구직급여 지급액은 1년 전보다 765억원(7.5%) 줄어든 9480억원을 기록했다. 1인당 지급액은 7만4000원 감소한 152만1000원을 나타냈다.

'24년 6월 고용행정 통계로 본 노동시장 동향 [자료=고용노동부] 2024.07.08 jsh@newspim.com

jsh@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