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선생님! 같이 수업 듣는 친구들이 저에게 'You are a hero!', 영웅이라 말해주었어요. 한국에서 한 번도 듣지 못했던 말이라 너무 새로웠어요."

이창현 한반도평화연구원 사무국장

교환학생으로 미국에 다녀온 북한 출신의 한 제자가 그곳에서 있었던 에피소드를 필자에게 들려주었다.

수업 도중 그가 북한 출신이라는 것을 담당 교수가 우연히 알게 되어 다음번 수업 시간에 개인적인 이야기를 나누어 주기를 요청했다고 한다. 

발표를 통해 북한을 떠나 한국에 오게 된 과정을 들은 동료 학생들이 모두 그에게 '영웅(hero)'이라 말해주었다는 것이다. 고난과 역경을 뚫고 인생의 새로운 발걸음을 내디딘 데 대해 미국 친구들은 그에게 주저 없이 '영웅'이라 답하고 존경을 표했다고 한다.

그는 이러한 반응이 너무도 충격이었다고 털어놓았다. 탈북하여 한국에 정착한 지 수 년이 지나는 동안 자신의 이야기에 이러한 반응을 보인 사람들은 처음이었기 때문이다.

한국에서 자신은 늘 적응이 늦고 서투르다는 시선만 받아왔는데, 미국 친구들의 경우 북한을 탈출한 결단과 도전에 주목하는 것이 신기했다고 한다. 자신의 인생을 이렇게 해석할 수 있다는 사실에 그는 스스로 자신을 다시 돌아보고 힘을 내었다고 고백했다.

누군가를 어떻게 바라보느냐에 따라 정체성과 관계는 달라진다. 관점은 상대방과 자신을 규정하고 둘 사이의 관계를 구속한다. 외모, 출신지, 학력 등 겉모습으로 누군가를 너무 빨리 판단하다가 그 사람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한 경험, 반대로 이러한 선입견으로 인해 자신을 온전히 보이기도 전에 평가받았던 경험을 누구나 가지고 있다.

북한이탈주민도 마찬가지다. 분단 이후 3만 4000여 명의 북한이탈주민이 대한민국에 들어왔다. 이는 인생을 뒤흔드는 엄청난 결정을 하고 위험스러운 여정을 통과하여 이 땅에서 새로운 삶을 시작한 3만 4000여 개의 이야기가 있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그런데 우리는 여전히 이들을 이미 정해놓은 시선으로 바라보는 것은 아닐까? 북한이탈주민을 어색한 억양을 사용하고 한국 사회 실정에 밝지 못한, 각종 지원대상으로만 여기는 것은 아닌지 돌아볼 필요가 있다.

막연한 이미지를 넘어 사람을 보아야 한다. 초점도 다르게 바꾸어야 한다. 자신의 인생을 걸고 용기 있는 결정을 했던 이들의 이야기는 더 나누어지고 존중받아야 한다.

북한 식량난으로 수많은 사람들이 탈북하기 시작했던 1990년대 후반부터 지금까지 25년 이상 지났음에도 북한이탈주민을 향한 사람들의 시선은 여전히 고난의 행군 당시에 머물러있는 듯하다.

강산이 두 번 이상 바뀌는 시간의 두께만큼 북한이탈주민은 우리 사회에 깊숙하게 다가왔고 주변 환경도 변했다. 최근 입국하여 새로운 보금자리를 튼 사람도 있지만 남한살이 20년 차로 사회 곳곳에 뿌리 깊게 자리 잡은 북한이탈주민도 이제는 상당수다.

각 분야에서 전문가로 자리 잡은 북한이탈주민 또한 많아졌다. 부모 손을 따라 탈북 여정을 거친 후 대한민국에 정착한 어린아이들은 국내에서 초중고등학교를 마치고 이제 2030 청년이 되었다. 북한이탈주민과 관련한 각종 사회 제도 또한 꾸준히 보완되어 왔다.

이러한 변화에도 불구하고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우리의 시선이 고정된 까닭은 여전히 제대로 된 만남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단순히 '5천만명 VS 3만4천명'으로 여전히 북한이탈주민 비율이 극소수이기 때문만은 아니다. 만남의 초점과 방법, 방향에 있어 우리 모두의 개선이 필요하다. 그래야 오래도록 함께하는 만남, 더 넓고 깊은 만남, 지속적인 만남이 가능하다.

먼저, 북한이탈주민과의 만남의 초점을 중장기로 확대할 필요가 있다. 우리는 여전히 초기 정착에만 관심을 둔다.

어느 정도 지역 적응을 하면, 학교에 입학하면, 취업에 성공하면, 이제 궤도에 올라갔으니 나머지는 북한이탈주민 스스로 헤쳐나갈 수 있을 거라 여긴다. 그러나 모든 이주자는 초기 정착을 잘했을지라도 이주 단계에 따라 계속해서 새로운 경험을 하고 난관을 마주한다.

그가 북한 출신이어서가 아니다. 이는 새로운 곳에 정착한 이주자라면 누구나 겪는 문제인 것이다. 한국에서 아이를 낳고 학부모가 되었으나 자신이 남한 학교를 경험하지 않았던 탓에 가정통신문이 낯설고, 사교육 선택에 어려움을 겪는다.

사랑하는 사람과의 결혼을 고려할 때 상대방 부모님과 어떻게 관계를 맺고 자신의 배경을 설명해야 할지 고민한다. 상대적으로 좁은 인맥의 한계를 극복하는 방법, 자신의 신용 점수를 관리하는 노하우, 이직이나 사업확장을 할 때의 장기적인 로드맵 등은 초기 정착을 잘해도 나타나는 고민거리다.

북한이탈주민을 특별하게만 볼 것이 아니라 우리의 이웃이라 여기고, 초기 정착을 넘어 5년, 10년, 20년 이 사회에서 살면서 우리가 마주해야 할 일상을 공유하고 돕는 만남이 필요하다.

만남의 영역과 방법에 있어서도 개선이 필요하다. 탈북청소년 대안학교, 종교기관 내 탈북민 부서, 탈북 대학생 장학금 지원과 같은 영역은 이미 여러 기관이 참여하고 있으며 중복의 우려까지 있다.

북한이탈주민을 만나는 새로운 무대를 개척하고, 다양한 만남을 시도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특별히 지자체, 남북하나재단(북한이탈주민지원재단) 등 공공 기관과 NGO, 종교기관 등 민간 단체의 협력이 필수적이다.

민간 기관은 북한이탈주민을 만날 열의와 자원을 가지고 있으나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접근이 어렵고 정보가 부족하다. 반면에 공공기관은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정보와 접근성은 좋으나 다양하게 사업을 운영할만한 여건은 부족하다. 이에 앞으로는 북한이탈주민과의 만남의 영역을 확장할 다양한 협력과 시도가 필요하다.

서로 돕는 쌍방향 만남도 중요하다. 지금까지는 북한이탈주민을 지원하는 일방향적 만남이 주를 이뤄왔다.

그러나 한쪽은 일방적으로 주고, 다른 한쪽은 일방적으로 받기만 하는 관계는 지속성에도 문제를 드러내며 서로에 대한 위치와 관점까지 고정화시킨다.

지원 중심의 만남도 중요하지만 서로의 관심을 공유하고 취미를 함께하며, 때로는 양방향으로 도울 수 있는 관계가 구축될 때 부담과 편견으로부터 자유로워질 수 있다. 양방향 관계에서 북한이탈주민 또한 자신의 정체성을 드러내고 보람을 느낀다.

결국 만남의 궁극적 목적이 성패의 열쇠가 된다. 북한이탈주민의 자립과 생존에만 관심이 있다면 일방향성을 벗어나지 못한다. 그러나 남북 주민이 서로를 이해하고 함께 행복한 것이 목적이라면 쌍방향적 관계는 필수적이다.

정부가 7월 14일을 '북한이탈주민의 날'로 제정했다고 한다. 이에 앞서 오는 10일에는 남북하나재단 주최로 '2024 남북한주민 사회통합사례 발표대회'가 열릴 예정이다. 성공적인 정착 스토리와 통합의 사연들이 많은 사람들의 마음에 울림을 줄 것이라 기대한다.

기념일 제정과 사례발표 대회 등을 기회로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우리의 관점을 다시 살피고 남북주민의 관계를 더 두텁게하는 계기를 만들었으면 한다.

일상의 이웃으로 남북주민이 서로 만나고 통합을 이루어가길 소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