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뉴스핌] 김기랑 기자 = 올해 여름은 평년보다 심한 무더위와 많은 강수량 등이 전망되는 가운데 최대전력수요는 92.3기가와트(GW)까지 상승할 것으로 예상된다.

전력당국은 올 여름 최대 104.2GW의 공급능력을 확보한 상태다. 총 21기의 원전을 가동해 기저전원으로 활용하고, 지난해보다 늘어난 태양광 설비도 적극 활용할 방침이다.

◆ 최대전력수요 상한 97.2GW…상한 육박해도 예비력 7.0GW '안정적'

산업통상자원부는 20일 열린 국정현안관계장관회의에서 이런 내용을 담은 '여름철 전력수급 전망·대책'을 발표했다.

이번 여름 예상 최대전력수요는 92.3GW로 지난해 여름(93.6GW)과 유사한 수준이 될 것으로 보인다. 올해에는 지난해보다 1주일 빨리 폭염주의보가 발령되는 등 기온이 평년보다 높을 것으로 예상되지만, 휴가분산효과가 나타나 무더위로 인한 전력수요를 다소 상쇄할 것이라는 분석이다.

[서울=뉴스핌] 최지환 기자 = 서울 낮 최고기온이 35도까지 올라가며 첫 폭염주의보가 내려진 19일 오후 서울 종로구 광화문네거리에서 한 시민이 부채를 부치며 이동하고 있다. 2024.06.19 choipix16@newspim.com

다만 산업부는 수도권 무더위로 냉방수요가 높은 가운데 남부지방에 구름이 유입돼 태양광 이용률이 낮아지는 예외적 상황이 발생할 경우, 최대전력수요가 97.2.GW까지 상승할 수 있다고 예측했다.

그동안 최대전력수요는 ▲2020년 89.1GW ▲2021년 91.1.GW ▲2022년 93.0GW ▲2023년 93.6GW 등 4년 연속 상승곡선을 그려왔다. 올해에는 92.3GW로 오름세가 소폭 꺾일 것으로 예상되지만, 만일 전력당국이 가정한 기상조건이 맞아떨어질 경우 지난해보다 높은 수준으로 상승하게 된다.

최대전력수요는 산업계 휴가 기간이 지난 후 조업률이 회복되는 8월 2주차 평일에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해 전력피크(8월 7일)보다 일주일여 늦다. 산업부는 이달 24일부터 전력수급 대책기간에 돌입해 오는 9월 6일까지 수요를 집중 관리할 예정이다.

올 여름 전력피크가 찾아왔을 때 예상 전력 공급능력은 최대 104.2.GW로, 지난해 피크 당시 공급능력(104.3GW)과 유사한 규모다. 공급예비력은 11.9GW로 여유로운 수준이지만, 상한 전망이 시현될 경우에는 7.0GW까지 내려갈 것으로 봤다. 일반적으로 공급예비력이 5GW 이상을 유지하면 전력수급 상황이 안정적이라고 해석한다.

◆ 공공기관, 전력피크 시간대 냉방기 30분 정지…에너지바우처 4만3000원→5만3000원 상향

전력 당국은 올 여름철 전력공급을 위해 지난 4월 상업 운전을 시작한 신한울 2호기를 비롯해 총 21기의 원전을 가동할 계획이다. 앞서 지난해 전력피크(93.6GW)에도 원전 21기를 가동해 21.9GW(23.4%)의 발전량을 충당한 바 있다.

태양광 설비도 지난해보다 늘어 전력수급에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 올 8월 태양광 발전량 예측치는 9.1GW로, 전년과 비교해 2.7GW 높은 수준이다. 태양광 비중은 지난 2019년부터 지속 상승하고 있다.

산업부는 발전기 고장 등 갑작스러운 위기에 대비하기 위한 다양한 대책을 마련했다. 먼저 공급예비력이 부족해지면 울산GPS복합(1.2GW)과 통영천연가스(1.0GW) 등 새로 건설한 발전기를 시운전할 예정이다. 그래도 예비력이 충분하지 않다면 석탄발전 출력 상향과 전압 하향 조정 등을 통해 최대 7.2GW의 비상예비자원을 가동한다.

합리적인 에너지 사용을 위한 수요관리도 병행한다. 공공기관은 집중관리가 필요한 7월 3주부터 8월 3주까지 피크시간대(오후 4시 30분~5시 30분)에 냉방기를 30분씩 정지하고, 예비력이 5.5GW 미만이 될 것으로 예상되면 실내온도 기준을 상향 조정하는 등 추가적인 조치를 시행할 계획이다.

아울러 지난 16일 고위당정협의회에서 논의한 대로 취약계층 하절기 에너지바우처 단가를 세대 평균 4만3000원에서 5만3000원으로 상향할 방침이다. 저소득가구 무상 냉방기기 설치와 고효율 가전 구매 지원 등도 추진한다.

또 월 10만원 이상 전기요금을 납부하는 주택용 전기 소비자와 일정 증빙을 갖춘 소상공인·뿌리기업을 대상으로 7~9월분 전기요금을 최대 6개월간 분할 납부하게 해주는 제도도 시행할 계획이다.

산업부는 "올 여름철 전력수급 대책기간에 유관기관과 함께 수급대책 상황실을 운영하며 실시간으로 수급 상황을 모니터링하고, 위기 시 예비자원을 즉시 투입해 안정적으로 수급을 관리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rang@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