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김신영 기자 = "HPV(사람유두종바이러스) 감염으로 인한 남성의 두경부암 발병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남녀 모두에게 HPV 백신을 접종시키지 않는 것은 의사 입장에서 직무 유기라고 생각합니다."

이세영 중앙대병원 이비인후과 교수는 27일 한국MSD의 가다실9 출시 9년 기념 기자간담회에서 발표를 통해 "남성이 HPV 감염에 더욱 취약하다"며 이같이 말했다.

[서울=뉴스핌] 김신영 기자 = 이세영 중앙대학교 이비인후과 교수가 남성 대상 HPV 백신 접종의 필요성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2024.05.27 sykim@newspim.com

이 교수는 HPV 백신 접종이 더 이상 여성의 자궁경부암 예방만을 위한 것이 아니라고 강조했다. 과거 두경부암이 음주와 흡연을 즐기는 중년 남성을 중심으로 주로 발병됐다면, 최근 HPV 감염으로 인한 남성들의 두경부암 발병이 증가하고 있다는 이유다.

두경부암은 코와 부비동, 구강, 안면, 후두, 인두, 침샘, 갑상선 등에 발생한 모든 종류의 악성종양을 뜻한다. 발생한 위치에 따라 구강암과 후두암, 인두암, 침샘암, 갑상선암, 비부비동암 등으로 구분된다. 전암병변이 없어 사전에 발견하기 어렵고, 발병 이후에도 수술 과정이 험난하고 치료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질병으로 알려져 있다.

이 교수는 "1970년대 이후 미국과 유럽의 흡연율은 감소했는데 두경부암은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며 "발병 원인을 살펴본 결과 HPV로 인한 편도암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말했다.

이어 "20년간 한국의 두경부암 발생율 변화를 살펴본 결과, 2019년을 기준으로 20년 전과 비교하면 흡연률은 증가하지 않았는데 인두암과 편도암이 각각 2배, 3배 증가했다"며 "흡연은 늘지 않았는데 두경부암이 증가한 원인은 HPV 때문으로 보인다. 이미 2007년 기준 구인두암(편도암)의 4분의 3의 원인이 HPV였다"고 설명했다.

대한이비인후과학회에 따르면 한국 남성의 구인두암의 일종인 편도암 발생률은 2002년부터 2019년까지 3배 증가했다. 미국에서 남성의 HPV 관련 구인두암 발생률은 이미 여성 자궁경부암 발생률을 앞선 상태다. 2015~2019년 미국 데이터에 의하면 HPV로 인한 여성의 자궁경부암은 1만2293건이었으나 남성의 구인두암은 1만7222건으로 집계됐다.

이 교수는 남성의 HPV 감염이 더욱 취약하다는 점을 재차 강조했다. 구강 내 HPV 바이러스 제거율은 여성이 90%인 반면 남성은 70%로 남성들에게 바이러스가 더 오래 머문다는 것이다. 특히 여성의 HPV 감염률은 10대 후반~20대에 최고였다가 점차 감소하지만, 남성의 경우 10대 후반부터 HPV 감염이 시작되나 감염률은 줄어들지 않고 유지된다고 했다.

국내에서는 2016년 국가필수예방접종(NIP)에 HPV 백신 접종이 포함됐다. 현재 만 13~17세 여성청소년을 대상으로 가다실 4가와 서바릭스의 접종을 지원하고 있다. 질병관리청은 백신 접종 대상을 남성 청소년으로 확대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윤석열 대통령 또한 대선 후보 시절 가다실 9가를 NIP에 포함시키겠다는 공약을 내놓은 바 있어 추진 시점에 관심이 모이고 있다.

2024년 4월 기준, 전세계 172개국이 국가필수예방접종으로 HPV 예방 접종을 실시하고 있다. 특히 OECD 가입 38개국 중 33개국이 남성 대상 NIP를 도입하고 이 중 28개국은 HPV 9가 백신으로 예방하고 있다.

이 교수는 "두경부암의 경우 전암병변이 없어 스크리닝 검사가 불가능하기에 백신을 통한 예방이 필수적"이라며 "올 상반기에 남성 청소년 접종이 확대됐어야 하는데 답답하다. 우리나라가 시기적으로 많이 늦었기 때문에 9가 백신 접종을 통해 따라잡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sykim@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