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이경화 기자 = 서울교통공사는 지하철 공실 상가를 서울시·25개 구청, 당진시, 영동군, 문화체육관광부 등 총 99개 공공기관 대상으로 '사회기여형 상가' 조성을 협의 중이라고 23일 밝혔다. 사회기여형 상가는 시민을 위한 공공서비스 정책과 연계된 공익적 상가다.

과거 공사는 지하철 역내 유휴공간 대부분을 상가로 조성해 적자를 개선하고 수익을 극대화하는 정책을 시행했다. 그러나 일부 상가는 장기공실로 남아 역사 환경의 저해 요소가 되거나 고객 동선에 지장물이 되는 등 제 역할을 다하지 못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노원구청 청년 팝업스토어(하계역, 청년창업지원) [사진=서울교통공사]

이에 공사는 일부 상가들을 공익적 목적의 사회기여형 상가로 전환하는 방침을 마련했다. 사회기여형 상가 확대를 통해 공공기관은 합리적 임대료로 일반 시민들이 접하기 쉬운 역 상가를 정책홍보 장소로 활용할 수 있고 공사는 장기공실 문제를 해결하게 된다.

무엇보다 시민 입장에서는 자주 이용하는 역에서 다양한 공공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돼 지하철 이용 만족도가 높아지게 될 것으로 공사는 기대하고 있다. 공사는 지난해 12월 이후 현재까지 총 99개 기관 대상으로 '사회기여형 상가'를 소개하고 각 기관의 핵심·역점 사업을 연계한 맞춤형 홍보를 진행 중이다.

우선 지난해 12월에는 하계역에 청년층 창업을 지원하는 '노원구 청년 팝업스토어'를 조성했다. 최근에는 가파르게 증가하는 배달라이더, 대리기사, 학습지 교사 등 이동노동자의 열악한 노동환경을 개선코자 사당역, 종로3가역에 '이동노동자 쉼터'를 설치 중에 있으며 향후 서울시와 협의를 통해 지속 확대할 예정이다.

백호 서울교통공사 사장은 "우리 공사는 다양한 공공서비스를 제공하는 기관과 협력을 통해 공실 상가를 시민 공간으로 환원함으로써 공기업으로서 의무를 다하고자 한다. 향후 적극적인 홍보·협의를 통해 '사회기여형 상가'를 지속해서 확대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kh99@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