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이나영 기자= 2차전지 토털솔루션 기업 탑머티리얼이 미국 보스톤 소재의 나노라믹 레보러터리즈(Nanoramic Laboratories, 나노라믹)와 양사의 공동이익을 위한 협력 양해각서를 체결했다고 27일 밝혔다.

나노라믹은 혁신적인 2차전지 전극기술인 네오카보닉스(Neocarbonix) 기술을 보유한 회사로 알려져 있다. 기존의 전극 제조공정과 달리, 불소계 바인더와 유독성 용매(NMP)를 사용하지 않는 환경친화적인 공법으로 전극 제조비용을 절감하고 에너지 밀도를 높이면서도 급속 충방전이 가능한 기술이다.

또한 나노라믹은 GM으로부터 투자를 유치한 바 있으며 미국 에너지성(DOE)으로부터도 보조금 수령을 확정하여 코네티컷 주에 ESS용 등으로 대규모 리튬인산철(LFP) 전극 제조 시설을 설치할 계획이다.

탑머티리얼 노환진 대표(좌)가 나노라믹의 창업자 존 쿨리(John Cooley)와 보스톤 본사에서 양사 협력 양해각서를 체결하고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탑머티리얼]

탑머티리얼과 나노라믹 양사는 이번 MOU로 네오카보닉스 기술을 상용화하는 데에 공동 협력한다. 평택 소재의 탑머티리얼 공장에서 생산할 LFP 양극재를 공급하고, 여기에 나노라믹의 기술을 활용하여 미국에서 전극을 생산해 기존 고객사들에게 납품한다는 계획이다.

노환진 대표이사는 "나노라믹은 자사의 네오카보닉스 기술 상용화와 함께 고객을 확보할 수 있으며, 탑머티리얼은 나노라믹의 기술을 활용함으로써 LFP양극재 및 전극 파운드리 사업의 초격차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양사간에 상호 이익이 되는 협약"이라고 설명했다.

탑머티리얼은 LFP 양극재 개발을 완료했으며, 평택에 구축될 설비를 통해 내년부터 생산할 계획을 가지고 있다. 우선 ESS용으로 미국 및 유럽 고객들에게 납품할 계획이다. 특히 최근 ESS 시장의 급격한 성장과 함께 안전성, 저가격, 장수명 장점을 가진 LFP 양극재가 가장 적합하다고 알려지며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중국산을 견제하기 위한 움직임이 커지고 있는 환경에서, 탑머티리얼은 LFP 및 차세대 LMFP 개발과 경쟁력 확보에 회사의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노환진 대표이사는 과거 미국의 'A123시스템즈'에서 기술총괄 부사장을 역임하며 세계 최초로 LFP 전지를 ESS용과 전기자동차용으로 상용화시킨 경력이 있다. 한편 탑머티리얼은 코스닥 상장사인 2차전지 자동화시스템 전문기업 코윈테크가 대주주로 참여하고 있다.

nylee54@newspim.com

탑머티리얼 (KOSDAQ:360070)
과거 데이터 주식 차트
부터 5월(5) 2024 으로 6월(6) 2024 탑머티리얼 차트를 더 보려면 여기를 클릭.
탑머티리얼 (KOSDAQ:360070)
과거 데이터 주식 차트
부터 6월(6) 2023 으로 6월(6) 2024 탑머티리얼 차트를 더 보려면 여기를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