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오경진 기자 = 실용주의 AI스타트업 리턴제로(대표 이참솔)가 조선일보와 협력해 'AI 기사 작성 어시스턴트'를 공급한다고 27일 밝혔다. 리턴제로의 AI 기사 작성 어시스턴트는 한국언론진흥재단에서 진행한 디지털 미디어 서비스 개발 지원 사업에 선정된 서비스로, 이번 협력을 통해 서비스 고도화를 진행할 예정이다.

AI 기사 작성 어시스턴트는 언론사 기자들의 방대한 기사 작성 업무의 효율화를 돕는 서비스다. AI 기사 작성 어시스턴트는 특정 조건에 맞는 수만 건의 기사 데이터를 학습한 AI 모델이 탑재되어 있어, 기사 제목과 취재 내용을 입력하면 협력 언론사의 스타일에 맞는 문체와 형식을 반영한 기사 초고가 생성된다. 해당 서비스는 경제와 산업 분야 온라인 기사 초고 작성에 최적화 됐으며, 기사 작성 업무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는 스트레이트성 기사와 톱기사 중 원하는 형식으로 선택이 가능해 일선 기자들의 기사 작성 부담이 줄어들 것으로 기대된다.

실제로 한국언론진흥재단 언론인 인식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언론사 기자들이 일주일에 평균 작성하는 기사 건수는 2017년 22.4건에서 2023년 25.7건으로 크게 증가하고 있다. 전해야 하는 소식이 늘어난 만큼 기자들이 효율적으로 기사를 작성하도록 지원하는 것이 AI 기사 작성 어시스턴트의 목표다. 실제로 베타 서비스를 활용한 주요 언론사의 기자들은 기사 작성 시간이 절반 이하로 줄었다고 평했다. 이에 더해 초년생 기자들이 높은 품질의 기사를 작성하면서도 소속된 언론사 문체에 맞는 기사를 작성할 수 있어 커스터마이징이 가능한 게 특징이다.

특히 리턴제로가 고도화하고 있는 AI 기사 작성 어시스턴트는 다른 AI 기반 기사 생성 서비스보다 정확성 측면에서 강점을 보였다. 기존 기사 생성 AI 서비스의 경우 보편적으로 사용하는 LLM과 연동된 탓에 기사 고유의 문체를 반영하지 못하거나 존댓말을 사용하는 등 미디어 분야에서 사용하기 부적절한 문장을 생성해 문제점으로 지적됐다. 반면 리턴제로의 서비스는 협력 언론사에서 작성한 기사 데이터를 바탕으로 학습해 언론 특유의 문체를 구현하는데다, 기자가 검토를 통해 최종안을 도출할 수 있도록 초고 수준의 기사를 작성해 협업 방식을 지향한다는 점에서 차이를 보였다.

리턴제로는 이번 AI 기사 작성 어시스턴트 고도화를 통해 미디어 분야의 전반적인 AX(인공지능전환)를 가속화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방대한 양의 기사 데이터를 학습한 이번 AI 모델은 사용자가 제공한 자료 내에서만 정보를 취합하도록 설계된데다, 정확한 사실에만 기반해 기사를 작성할 수 있도록 할루시네이션(환각) 효과도 최소화해 미디어 분야에 최적화된 모델로 꼽힌다.

이번 서비스 공급은 미디어 AX 측면에서 스타트업과 언론사가 협력한 최초의 사례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리턴제로는 이번 프로젝트를 시작으로 AI 기술 기반의 기사 작성 분야를 확장할 계획이다. 뿐만 아니라 향후 정치, 법조 등 다양한 분야에서 기사 생성 능력을 개발해 지속적인 협력을 이어갈 방침이다.

이참솔 리턴제로 대표는 "이번 AI 기사 작성 어시스턴트는 취재 중심의 언론 환경을 효율화하는 데 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며 "앞으로도 리턴제로는 실용주의 AI 스타트업이라는 지향점에 맞춰 생성형 AI 기술을 활용해 현업의 문제를 해결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선보일 예정"이라고 말했다. 

ohzin@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