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연합뉴스

 

지난해 한국의 대미 금융투자 잔액이 사상 첫 8000억 달러를 넘어서며 새로운 역사를 썼다. 

 

이는 미국 주식 시장에 대한 국내 투자자들의 열기와 함께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을 비롯한 여러 요인에 힘입어 국내 기업들의 미국 내 직접 투자가 큰 폭으로 늘어난 결과로 분석된다.

 

25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3년 지역·통화별 국제투자대조표(잠정)'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으로 준비자산을 제외한 우리나라의 대외금융자산 잔액이 전년 대비 1244억 달러 증가한 1조9116억 달러에 달한다고 밝혔다. 

 

이 중에서도 미국이 8046억 달러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며, 유럽연합(EU)과 동남아시아가 그 뒤를 이었다.

 

특히 대미 금융자산 잔액은 2002년 관련 통계 작성 이래 최고치를 경신함과 동시에 전체 대외금유 자산 중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42.1%에 달하는 최대 기록을 세웠다.

 

2022년 한 해 동앇 미국과 EU 지역으로의 금융자산은 각각 1138억 달러, 103억 달러 증가한 반면, 중국, 중동 및 동남아시아 지엽으로는 감소세를 보였다.

 

이 같은 대미 금윤 자산의 급격한 증가는 주식 시장에 힘입어 일명 '서학개미'라 불리는 개인 투자자들의 활발한 미국 주식 편입과 함께 상대적으로 높은 주가 상승률, 그리고 IRA 등 정책적 영향으로 삼성전자 등 주요 대기업들의 현지 공장 투자 확대가 견인차 역할을 하였다는 분석이다.

 

반면 중국 및 중동 지역으로의 급감세는 여러 복합적 요인에 의해 발생했다.

 

한은 박성곤 국외테스트통계팀장은 "금융자산 내 비중이 가장 큰 증권 투자가 주식을 중심으로 꾸준히 늘고 미국 주가 상승률도 상대적으로 높았을 뿐 아니라 IRA 등의 영향으로 삼성전자 등 대기업의 미국 내 해외공장 투자도 증가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결과적으로 지난해 한국의 글로벌 긍정 다변화 추세 속에서도 명확하게 드러나는 것은 한국과 미국의 경제 관계가 점점 더 견고해지고 있다는 사실로 평가된다.

 

이 기사는 알파경제가 생성형 AI(인공지능)를 이용해 제작한 콘텐츠다. 기사 정확도와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교차 데스킹(Desking) 시스템을 구축해 양질의 기사를 제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