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콕=뉴스핌] 홍우리 특파원 = 19일 인도 증시는 보합권에 머물렀다. 뭄바이증권거래소(BSE)에서 산출하는 센섹스지수는 0.047% 상승한 77,337.59포인트로, 인도국립증권거래소(NSE)의 벤치마크 지수인 니프티50지수는 0.19% 내린 23,516.00포인트로 거래를 마쳤다.

사상 최고치로 출발한 양대 벤치마크 지수는 거래를 이어가면서 상승폭을 반납했다. 미국의 지난달 소매판매 지표가 둔화한 것으로 나타났음에도 뉴욕증시가 밤새 소폭 상승하는 데 그치고, 인도 국내에서도 새로운 트리거가 나오지 않고 있는 상황에서 기록적인 상승세가 꺾인 것으로 풀이된다.

인도 금융 전문 매체 민트는 "시장은 (인도 새 정부의) 정책 발표와 향후 예산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며 "7월 예산안이 발표될 때까지 시장 상승 여력이 제한적일 것이라고 전문가들은 예상한다"고 전했다.

민영은행 섹터가 오르면서 국영기업 및 에너지 섹터의 하락을 상쇄, 변동폭이 적었다고 로이터는 분석했다.

이날 프라이빗 뱅크 섹터 지수는 2.01%, 은행 섹터는 1.90% 상승했다. 올 들어 현재까지 두 개 섹터 지수의 누적 상승률은 각각 2.74%, 6.43%로, 이는 같은 기간 니프티50지수의 상승률(8.21%)를 밑도는 것이다.

인도 민영은행인 코탁 마힌드라 은행의 우파드야야는 "민영은행은 최근의 랠리에 참여하지 않은 점을 감안할 때 이들 섹터가 매우 매력적으로 보일 수 있다"며 "다만 중요한 것은 섹터가 아니라 종목"이라고 지적했다.

반면 국영기업 섹터 지수는 이날 2.16% 하락했고, 에너지 섹터와 부동산 섹터 또한 각각 1.71%, 2.83% 내렸다. 이들 섹터는 이달 4일 총선 결과가 발표된 이후 현재까지 각각 15.2%, 10%, 18%씩 상승했었다. 나렌드라 모디 총리의 3연임이 확정되고 부동산 및 인프라 건설 정책이 이어질 것이란 기대감이 이들 섹터의 상승을 이끌었다.

전문가들은 인도 증시가 사상 최고 수준으로 치솟은 만큼 차익 실현 매물이 출회될 수 있다고 분석한다. 우파드야야는 "이제부터는 꾸준한 성장 전망과 밸류에이션의 안정성을 갖춘 개별 종목을 식별하는 것이 중요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래픽=인도국립증권거래소(NSE) 캡쳐] 19일 인도 증시 니프티50지수 추이

hongwoori84@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