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연합뉴스)

 

한국의 4분기 GDP 성장률이 전분기 대비 0.1% 성장에 그쳤다. 전년 동기 대비로는 1.2% 증가했다.

4분기 GDP성장률은 어느정도 예정된 부진이라는 점에서 시장에 큰 쇼크를 주지 않았다는 평가다.

전문가들은 4분기 GDP 성장률 둔화의 주된 원인인 내수경기 부진 현상이 소비심리 위축, 고용시장 절벽 그리고 건설 경기 부진으로 1분기에도 이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문다운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이미 지난 1년간 수출이 둔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내수의 회복도 지연되고 있다"며 "당분간 미약한 대내외 경기 모멘텀이 지속되는 가운데 지난해 1분기의 높은 기저 등을 감안하면 한국경제는 전년 동기대비 성장률 기준으로 올해 1분기까지 저점을 낮춰갈 것"이라고 예상했다.

◇ 2025년 상반기 우려 확대, '상저하고' 전망

 

문다운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경기 방어를 위한 정책 대응이 상반기에 집중되며 상저하고의 성장 흐름을 예상한다"며 "부진한 제조업 업황과 트럼프의 정책 불확실성 등에 맞물려 수출 둔화세가 이어지고 있다"고 파악했다. 

 

더불어 내수 회복도 지연되는 상황인데, 가장 큰 이유는 지난 12월 비상계엄 및 탄핵 정국에 따른 불확실성과 제주항공 여객기 사고 등으로 경제 주체의 심리가 급격하게 훼손된데 있다는 지적이다. 

 

가계 및 기업심리 위축은 소비 및 생산 둔화로 연결되며 경기 하방 압력을 증대시켰다.

 

문다운 연구원은 "다행스럽게도 12월 급락했던 소비자심리지수가 1월에는 소폭 반등하며 추가 하락은 제한됐다"며 "경제 주체의 심리 반등을 뒷받침하고 소비 및 투자 회복을 촉진하기 위해 재정 및 통화 정책의 지원이 모두 필요한 상황"이라고 판단했다.

 

재정 정책 차원에서는 재정 조기 집행이 진행되는 가운데 2분기 중 추경 가능성을 높게 보고 있다. 

 

더불어 금통위의 추가 3회 기준금리 인하가 예상되는 가운데 실질 금리가 하락하며 경기 하방 압력을 일부 상쇄할 것으로 예상된다.

박상현 IM증권 연구원은 "순수출 기여도가 그나마 4분기 전기비 0.1%p로 3분기 -0.8%p에 비해 개선되면서 역성장을 막는 역할을 했지만 올해 상반기 수출경기의 경기 방어력을 장담하기 힘들다"고 진단했다. 

 

트럼프 2기 관세정책이 우려보다는 지연되거나 유연하게 추진될 가능성도 있지만 당분간 국내 수출에는 부담을 줄 공산이 높다는 분석이다. 

 

박상현 연구원은 "지난해 국내 경기를 대미국 수출이 견인해왔음을 고려할 때 트럼프 2기 관세정책 방향에 따라 국내 수출경기가 큰 타격을 받을 위험은 잠재해 있다"고 판단했다.


◇ 통화 및 재정 정책 보완 필요

 

(출처=IM증권)

박상현 IM증권 연구원은 "당사는 올해 GDP성장률을 1.5%로 하향 수정하는 동시에 트럼프 정책 리스크에 따라서는 성장률의 추가 둔화 가능성도 염두에 두어야 한다"고 밝혔다.

 

국내 경기와 관련하여 올 한해 수출 등을 통한 대외 모멘텀을 기대하기 어렵다는 측면에서 우리 경제 스스로 성장 모멘텀을 찾아야 한다는 의견이다.

 

특히 내수 경기의 추가 둔화를 막기 위해서는 적극적인 금리인하와 더불어 조기국내 경기, 스스로 돌파구를 찾아야 하며 추경 등의 집행이 필요하다는 판단이다. 

 

경기부양 정책이 지연되거나 정치 불확실성 리스크가 장기화된다면 상반기 경기 저점을 확인하기 힘들 여지도 커 그 어느때보다 경제 주체들의 심리를 반등시킬 수 있는 적극적인 정책 행보가 필요하다.

최제민 현대차증권 연구원은 "올해 경기 하방 리스크 매우 큰 상황"이라며 "경제 살리려면 강한 경기 부양 의지와 정책시행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관세를 꽃놀이패처럼 사용하며 자국우선주의 정책 강화하는 트럼프 정책 기조를 감안할 때 대외 불확실성으로 인한 수출 경기 향방의 리스크가 높은 상황이란 진단이다.

 

더욱이 내수는 정국 불안, 유의미한 경기부양책의 부재와 여전히 제약적인 수준의 금리, 생활물가, 원재료 가격 상승 등이 소비와 건설 경기 회복을 제약하고 있다. 

 

최제민 연구원은 "소비자심리가 소폭 반등했으나 여전히 부진하다"며 "경기가 불안하고 대내외 불확실성이 높은 상황에서 나타나는 민간의 소비와 투자 공백을 메우고, 선순환을 유도할 수 있도록 완화적 통화정책 기조와 더불어 추경 시행이 시급하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