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SK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반도체 산업에서 일본 기업들과의 협력을 강화할 뜻을 밝혔다. 

 

이는 인공지능(AI) 기술의 발전에 따른 고대역폭메모리(HBM) 반도체 수요 증가에 대응하기 위한 전략으로, 한국 내 생산 확대뿐만 아니라 해외 생산 가능성 탐색에도 나서겠다고 전했다.

 

24일 최 회장은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과의 인터뷰에서 HBM 반도체에 대해 "한국 내 증산에 더해 추가 투자가 필요한 경우 일본, 미국 등 다른 나라에서 제조할 수 있는지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글로벌 기술 대기업들이 점점 더 중요시하는 친환경 에너지 사용 요구에 부응하여 클린 에너지 조달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또한, 최 회장은 반도체 분야에서 일본 기업들과의 연구개발(R&D) 및 투자 협력을 심화하겠다는 의사를 밝혔다.

 

AI 전용 반도체 등 첨단 분야에서의 혁신적인 발전을 위해 일본의 장치 및 재료 제조 업계와 긴밀한 협력이 필수적이라는 점을 지적하며, 새로운 R&D 시설 설립 및 일본 기업에 대한 직접 투자 가능성 역시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일본 낸드플레시메모리 업체 키옥시아(옛 도시바메모리)와 관련해서는 SK하이닉스가 간접 출자한 바 있으며, 최 회장은 키옥시아와의 더 깊은 협력과 성장 가능성 모색 의사를 표명했다. 

 

그러나 지난해 미국 웨스턴디지털(WD)과의 경영 통합 협상 실패 후 키옥시아와 HBM 생산 관련 협력 방안 모색 소식이 전해진 바 있다.

 

중국 내 반도체 공장 운영과 관련해서 최 회장은 "중국 사업은 계속 유지될 것"이라며, 당분간 중국 내 사업 활동을 이어갈 계획임을 명확히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