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김정태 건설부동산 전문기자= 국토교통부는 오는 17일 인천 동암역 남측, 부천 중동역 동측과 서측 등 총 3곳 5000가구를 도심 공공주택 복합지구로 지정한다고 16일 밝혔다.

도심 공공주택 복합사업은 선호도 높은 도심 내 주택공급을 확대하기 위해 민간 정비가 어려운 노후 도심을 대상으로 공공이 주도하여 용적률 등 혜택을 부여하고 신속하게 주택을 공급하는 사업이다. 현재 전국 총 57곳 9만1000가구의 후보지를 대상으로 사업이 추진되고 있다.

이번 지정된 3개 지구는 지난해 7월 10일 도심 공공주택 복합사업 예정지구로 지정된 이후 주민 2/3 이상의 동의(토지면적의 1/2 이상)확보와 중앙도시계획위원회 및 중앙토지수용위원회 심의를 진행하여 지구지정 절차를 완료했다.

인천 동암역은 인천광역시 부평구 십정동 520-18번지 일원에 위치해 있으며 대상 부지는 5만3205㎡ 규모로 1800가구가 지어진다.

부천 중동역은 주거상업고밀지구인 동측과 서측에서 각각 복합사업이 추진된다. 동측은 경기도 부천시 중동 863-1번지 일원이며 대상 부지는 4만9959.4㎡규모로 1536가구가 지어질 예정이다. 서측은 경기도 부천시 상동 329-8번지 일원이며 대상 면적은 5만3930.4㎡ 규모로 1680가구를 건설할 예정이다.

이들 3개 지구 모두 2027년 착공에 들어가 2030년에 준공될 예정이다.

서울에는 불광근린공원, 창2동 주민센터, 상봉터미널, 약수역 총 4곳 5만5000가구를 예정지구로 지정하고 5월30일까지 14일간 의견청취를 거쳐 주민 동의 확보 등 복합지구 지정 절차를 진행할 예정이다.

한편 국토부는 주민설명회를 통해 구체적인 사업이 안내된 후 참여의향률이 50% 이하로 집계된 창2동 674 후보지는 주민들의 의견을 반영해 사업추진을 철회한다고 밝혔다.

이번 복합지구 지정으로 현재 전국에 총 16곳 2만3400가구의 복합지구가 지정됐다. 올 연말까지 1만가구 사업승인(누적 1만3000가구)과 1만가구 이상 복합지구를 추가로 지정하고 일몰연장 및 토지주 우선공급일 합리화 등 제도개선을 완료해 도심복합사업을 본격화해 나갈 예정이다.

이정희 국토부 공공주택추진단장은 "수요가 높은 도심 내 주택공급 확대를 위해 도심복합사업의 일몰연장과 함께 하반기 후보지 추가공모를 추진할 예정"이라며 "적극적 제도개선과 신속한 사업추진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dbman7@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