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김종원 국방안보전문기자 = '미그기 킬러(MiG Killer)' '하늘의 도깨비' 공군 F-4 팬텀(Phantom) 전투기가 55년간 임무를 마치고 7일 역사적인 퇴역을 했다. 이젠 기만용 항공기(Decoy)로 활용된다.

한국 공군이 운용했던 팬텀 F-4D는 2010년, RF-4C 정찰기는 2014년에 퇴역했다. 이번에 퇴역하는 F-4E는 맥도널 더글러스(1997년 보잉 합병)가 생산한 F-4 시리즈 중 가장 나중 기종이다.

이영수 공군참모총장이 2024년 6월 5일 공군 10전투비행단 수원기지를 찾아 비행단 대비태세를 점검하고 퇴역하는 F-4E 지휘비행을 하고 있다. [사진=공군]

팬텀 전투기는 1958년 미국에서 출고돼 첫 비행을 시작했다. 한국은 1969년 F-4D 6대를 첫 도입했다. 1975년에는 방위성금으로 5대를 인수하기도 했다. F-4D 첫 도입 이후 F-4E, RF-4C(1989~2014) 등 모두 187대의 팬텀 전투기를 운용했다.

F-4E 팬텀 퇴역식은 경기도 수원 공군 10전투비행단에서 신원식 국방부 장관 주관으로 열렸다.

이계훈 공군참모총장이 2010년 6월 16일 공군 11전투비행단 대구기지에서 F-4D 퇴역식을 하면서 전투기에 화환을 걸어주며 공중 임무 수행을 기념하고 있다. [사진=공군]

F-4D 팬텀 첫 도입 당시 조종사인 이재우(89·공사5기·예비역 소장) 동국대 석좌교수와 정비사인 이종옥(85) 예비역 준위가 초창기 전력화 기여 공로자들을 대표해 감사장을 받았다.

이 교수는 F-4D 도입 요원으로 선발돼 1968년 미 데이비스 몬산 공군기지에서 F-4D 비행훈련을 받았다. 1969년 F-4D 6대를 처음 인수할 때 전투기를 타고 공중급유를 받으며 태평양을 비행해 공군 11전투비행단 대구기지에 내린 조종사 중 한 명이다.

이 준위는 당시 정비교육 요원으로 선발돼 데이비스 몬산 공군기지에서 F-4D 정비 교육을 받고 한국에 돌아와 F-4D 전력화 과정에 크게 기여했다.

공군 39전술정찰비행전대 장병과 가족들이 2014년 2월 28일 공군 10전투비행단 수원기지에서 RF-4C 정찰기 퇴역식을 하면서 24년 간 임무한 항공기와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사진=공군]

공군 10전비 김도형(40·조종사) 소령과 강태호(53·정비사) 준위는 팬텀 퇴역 순간까지 유종의 미를 거둘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한 공로로 국방부 장관 표창을 받는다

이영수 공군참모총장은 현충일을 하루 앞둔 지난 5일 수원기지를 찾아 비행단 대비태세를 점검하고 퇴역하는 F-4E 지휘비행을 하기도 했다. 

[서울=뉴스핌] 사진공동취재단 = 7일 경기도 수원시 공군 10전투비행단에서 열린 F-4 팬텀(Phantom) 퇴역식에서 후배 조종사들이 헌정한 팬텀과 함께 임무를 수행하다가 불의의 사고로 순직한 조종사들을 기리기 위한 조종 헬멧과 태극기가 놓여 있다. 2024.06.07 photo@newspim.com

이 총장은 이날 퇴역식에서 "국가 안보를 바라는 국민들의 뜨거운 열망과 적극적인 지원으로 도입된 팬텀은 50년 넘게 대한민국 하늘을 굳건히 지키며 국민 성원에 보답했다"면서 "올해 팬텀의 마지막 여정은 공군 역사상 가장 멋진 전투기 퇴역으로 기록될 것"이라고 말했다.

신 장관은 "팬텀과 함께 한 지난 55년은 대한민국 승리의 역사였다"면서 "자유 세계의 수호자인 팬텀이 도입되자 대한민국은 단숨에 북한의 공군력을 압도했으며, 이때부터 북한의 공군은 우리 공군의 상대가 되지 않았다"고 강조했다.

 

kjw8619@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