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오경진 기자 = 모빌리티 분야 산·학·연과 공공부문의 다양한 리더들로 구성된 협의체인 'MESH(Mobility Ecology Summit Hour, 위원장 김익기)'가 수요응답형 모빌리티 플랫폼 벤처·스타트업인 '스튜디오갈릴레이(대표 김현명)'와 함께 지난 21일 '제2회 임용택 상(賞) 우수논문 공모전' 시상식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임용택 상(賞)'은 국내 교통 계획 및 수요 모델링 분야에 큰 업적을 남긴 故 임용택 교수의 생전 업적을 기리고자 제정된 상이다. 교통계획 및 수요 모델링 분야의 후속세대를 지속 양성하고 연구활동을 지원하기 위한 학술상으로서 MESH가 운영하고 스튜디오갈릴레이가 후원한다.

제2회 임용택 상(賞) 우수논문 시상식에서 임용택 상을 수상한 김의진 박사(좌에서 네 번째)와 권동현 연구원(좌에서 다섯 번째)

올해로 2회를 맞은 임용택 상(賞)은 지난해 10월 말 공모를 시작해 약 3개월간 국내·외 다수 연구자로부터 우수한 논문을 응모 받았다. 수상자는 총 2차에 걸친 엄격한 심사 과정과 심의위원장(MESH 운영위원장)의 최종 승인을 통해 선정했다. 심사위원단은 국내·외에서 학술성과를 인정받아 검증된 교통공학 교수들을 별도 위촉하여 구성하는 등 심사의 공정성과 객관성을 최대한 확보했다.

임용택 상(賞)은 심사위원단 만장일치의 최우수 연구자에게만 수여되는 '임용택 상'과 초기 연구자의 연구 성과를 인정하고 격려하는 'Young Scholar Award(젊은 학자상)'로 구분된다. '임용택 상' 본상 수상자에게는 상패와 함께 700만원의 장학금이 수여되고, 'Young Scholar Award' 수상자에게는 상패와 장학금 200만원이 수여된다.

제2회 '임용택 상'에는 서울대학교 건설환경공학부 졸업생 김의진 박사가 선정됐다. 김 박사는 '개인별 활동 일정 생성을 위한 심층 생성 모형 프레임 워크'라는 주제로 가구 통행실태조사와 스마트카드 통행 빅데이터를 활용해 개인별 활동 일정을 합성하는 생성형 인공지능을 개발하여 교통수요 예측의 정확성을 높이는 데이터 융합 프레임워크를 새롭게 제안하며 연구의 우수성을 인정받았다.

'Young Scholar Award'에는 공주대학교 도시융합시스템공학과 석사 졸업생 권동현 학생이 선정됐다. 현재 KAIST 조천식모빌리티대학원 박사과정에 재학 중인 권 연구원은 '다중 유형 교통검지기 데이터의 시공간적 특성을 활용한 교통량 예측 모델 구축 방안'이라는 논문 주제로 딥러닝 기반의 ASTGCN-LSTM 모델을 사용해 도심 전역의 교통량을 예측, 그래프 데이터 구조를 통해 공간적 및 시계열적 특성을 학습하여 데이터 결측 문제에도 안정적으로 높은 예측 정확도를 달성하는 방법론을 제안했다. 초기 연구자임에도 수준 높은 연구 성과로 우수한 평가를 받으며 Young Scholar Award를 수상했다.

MESH 학술분과 위원장이자 임용택 상(賞) 심사위원장을 맡은 아주대학교 교통시스템공학과 유정훈 교수는 "이번 공모전에는 교통 분야의 혁신적이고 참신한 연구논문들이 많이 제출되었는데, 이와 같은 연구를 수행한 연구자들의 열정과 창의성에 깊은 인상을 받았다"며, "교통 계획 및 수요 모델링은 우리 사회와 삶에 밀접한 여러 문제를 해결하는 데 기여할 수 있는 매우 중요한 학문 분야로서 임용택 상(賞) 공모전을 통해 더 많은 연구자들이 이 분야에 관심을 갖고 도전하기를 바란다"고 심사 소감을 밝혔다.

임용택 상(賞)의 심의위원장이자 MESH의 운영위원장인 김익기 한양대학교 교통물류학과 명예교수는 "임용택 상(賞)은 연구자들의 연구 의욕을 고취하고 그들이 지속해서 학문적 성과를 낼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데 이번 공모전에서도 뛰어난 연구들이 많이 나와 매우 기쁘고 고무적으로 생각한다"며, "향후 지속적인 우수 연구 발굴을 통해 더욱 많은 학문적 교류와 협력이 일어날 수 있도록 MESH와 임용택 상(賞)이 크게 이바지하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ohzin@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