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이경화 기자 = 2026년 서울에서는 100대 이상의 자율주행 차량이 대중교통 소외 지역을 중심으로 운행될 전망이다.

또 닥터헬기나 소방헬기의 한계를 보완한 응급닥터 도심항공교통(UAM)이 2026년 장기·혈액 운송을 시작으로 2030년에는 응급의료부터 긴급구조까지 범위가 확대된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8일(현지시각) 아부다비 국립전시센터에서 열린 연례투자회에 참석해 '더 나은 미래도시를 위한 서울시의 전략'이라는 주제로 미래교통 정책을 발표했다. 연례투자회의는 변화하는 세계 경제 흐름을 보여주는 아랍에미리트(UAE)의 대표적 투자 행사로 올해는 6개 분야로 운영됐으며 175개국에서 정책결정자, 경제 리더 등 1만3000여명이 참여했다.

오세훈 서울시장이 아부다비 연례투자회의 미래도시 분야에 참석해 '더 나은 미래도시를 위한 서울의 전략'이라는 주제로 기조연설하고 있다. [사진=서울시]

오 시장은 올해를 대중교통 혁신의 원년으로 삼고 민생 최우선 첨단교통 혁신전략을 실행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제가 아이디어를 내 자율주행버스를 새벽 청소근로자와 같이 꼭 필요한 분들이 이용할 수 있게 하자고 했다. 최첨단 기술의 엄청난 승리"라며 "2026년까지 자율주행버스 100대 이상을 대중교통 취약지역에서 운행하기 위해 계획을 준비하고 있다"고 말했다.

현재 서울시에는 지난해부터 합정역~동대문(오후 11시반~오전 5시 10분까지) 구간에 심야 자율주행버스가 2대 다니고 있다. 시는 이를 2026년까지 24개 노선, 최대 35대 가량 늘릴 계획이다. 또 지하철역과 거리가 멀거나 높은 언덕길 지역 등을 중심으로 중·소형 규모 '지역순환 자율주행버스'를 내년부터 시범 도입해 2026년까지 13개 노선 최대 15대 가량 투입한다.

오 시장은 "서울은 대중교통 시스템이 잘 확립된 도시지만 여전히 휠체어이용자, 장애인, 임산부 등 교통약자들이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며 "이들의 어려움을 해결하고자 '동행안심앱'을 개발했다. 이 앱만 있으면 교통약자들이 도착하고자 하는 곳까지 장애 없이 이동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시는 휠체어·유모차 이용자, 고령자와 같은 교통약자를 대상으로 한 맞춤형 길 안내 서비스 '서울동행맵'을 고도화하고 교통체증이 심한 지역을 중심으로 인공지능(AI) 기술 기반으로 교통신호도 개선할 방침이다.

오세훈 서울시장이 아부다비 연례투자회의 미래도시 분야에 참석해 '더 나은 미래도시를 위한 서울의 전략'이라는 주제로 기조연설하고 있다. [사진=서울시]

소음이나 공간적 제한 등 닥터헬기 한계를 극복한 '응급닥터 UAM'도 선보인다. 상용화 초기 단계인 2026년에는 장기·혈액 이송에 UAM을 활용하고 2030년에는 환자이송도 가능하게 한다는 목표다. 1820억원을 들여 총 10대 가량 운영할 예정이다.

오 시장은 "서울에서 UAM 첫 이용자는 응급환자가 될 것"이라며 "UAM은 소수의 부유층만을 위한 전유물이 아닌, 모든 서울시민을 위한 공공의료 서비스의 핵심 교통수단이 될 것"이라고 자신했다.

오 시장은 이날 아부다비 행정교통부를 방문해 교통·스마트시티·도시개발 등 여러 분야에서 협력하기 위해 아부다비시와 우호도시 업무협약도 맺었다. 서울시와 두바이는 이번 협약으로 자율주행·UAM 실증 사업성과를 공유하고 기술·인력을 교류한다. 

kh99@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