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 = 뉴스핌] 김범주 기자 = 정부가 수업에 복귀한 의대생들의 신상을 유포하거나 휴학계 제출을 강요하는 등 11건의 행위에 대해 수사를 의뢰한 것으로 확인됐다.

20일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진선미 더불어민주당 의원(서울 강동갑)이 교육부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4월부터 지난 4일까지 총 11건에 대해 경찰에 수사를 의뢰했다.

정부가 수업에 복귀한 의대생들의 신상을 유포하거나 휴학계 제출을 강요하는 등 11건의 행위에 대해 수사를 의뢰했다. 서울의 한 의과대학 실습실/뉴스핌DB

앞서 교육부는 지난해 3월 의과대 학생 보호·신고센터를 설치한 후 동기·동창의 정보를 유출하는 사건에 대한 신고를 접수해 왔다.

신고 내용은 의대생들에 대한 △수업 거부 강요 △휴학계 제출 압박 △복귀 의대생 신상 공개 △허위사실 및 악플 유포 등이다.

지난해 3월 한 의대 학생 태스크포스(TF)는 온라인 수업 출결 현황을 공유하는 방식으로 학생들이 수업에 참여하지 못하게 강요하고, 반발한 경우 '공개 대면 사과'를 요구했다.

수업에 참여한 학생들에게는 이른바 '족보'로 불리는 학습자료에 영구 접근금지조치 등을 선언하기도 했다.

학생들을 한 장소에 모은 뒤 이탈하지 못하도록 막으며 휴학계 제출을 요구하거나, 의예과 1학년 학생들이 자율적으로 논의하는 것을 막기도 했다.

의료계 사이트 메디스태프와 텔레그램 등을 통한 수업 복귀 의대생 신상정보가 유출되는 사건도 있었다.

진 의원은 "정부가 의대증원 정책을 발표만 하고 이를 방관한 1년이라는 시간 동안 교육여건 개선의 노력은 더뎠다"며 "의대생간 갈등이 심화된 측면이 있다"고 말했다.

wideopen@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