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인 시황] 비트코인, 태연한 뉴욕증시 따라 97K 회복
[시드니=뉴스핌] 권지언 특파원 = 금리 인하에 신중한 연방준비제도(연준) 위원들의 태도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위협에도 뉴욕증시가 신고점을 경신하자 비트코인 가격이 9만 7000달러 위로 반등했다. 다만 비트코인 추가
조정에 대한 경계감은 여전한 모습이다.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비트코인 가격은 한국 시간 기준 20일 오후 12시 15분 현재 24시간 전에 비해 1.58%
상승한 9만 7242.74달러를 기록 중이다.
같은 시각 이더리움은 24시간 전보다 1.66% 오른 2739.37달러를 기록하고 있다.
 |
비트코인 이미지 [사진=로이터 뉴스핌] |
간밤 공개된 1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의사록에 따르면 연방준비제도(연준) 관계자들은 고착화된 인플레이션과
특히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이 인플레이션 목표 달성에 미칠 잠재적 영향에 우려를 표했다.
연준이 금리 인하에 대해 신중한 모습이 확인되고, 트럼프 대통령이 한 달 안으로 자동차와 반도체 등에 대한 관세를
발표할 수 있다고 경고했지만 증시 투자자들은 이미 알려진 시장 변수라는 듯 크게 반응하지 않았고,
S&P500지수는 최고 종가를 경신했다.
여러 악조건 속에서도 투자자들이 위험 선호 심리를 키우자 코인 투자자들 역시 안도하는 분위기다.
다만 비트코인을 움직일 직접적 재료가 부재한 상황에서 가격이 다시 아래를 향할 수 있다는 불안감은 여전하다.
크립토퀀트 분석가들은 보고서를 통해 수요 감소, 블록체인 활동 부진, 유동성 유입 부족 등을 이유로 비트코인 가격이
8만 6000달러까지 추가 하락할 수도 있다고 지적했다.
크립토퀀트 데이터에 따르면 지난 12월 4일 27만 9000개로 정점을 찍었던 비트코인 수요는 최근 7만개 수준까지
급감한 상태다.
또 종전 비트코인 가격 랠리에 앞서 나타났던 현물 비트코인 상장지수펀드(ETF)에 대한 자금 유입도 사라졌고,
지난해 11월과 12월 하루 최대 1만 8000개의 비트코인 매수세가 나타났던 것과 달리 지난 2주 동안에는 정기적
순유출이 확인됐다.
크립토퀀트의 비트코인 네트워크 활동 지수도 1년 만에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고, 중국이 비트코인 채굴을 금지한
2021년 7월 이후 처음으로 365일 이동평균선 아래로 내려왔다. 이러한 거래량 감소는 투자자 참여도 하락과 투기적
관심의 감소를 시사한다.
kwonjiun@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