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전국 17개 시도서 '소매 판매' 감소…내수 부진 장기화
[세종=뉴스핌] 김기랑 기자 = 지난해 재화 소비를 나타내는 '소매 판매'가 전국 17개 시도에서 모두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고물가·고금리로 인한 내수 부진이 장기화되는 모습이다.
18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4년 4분기 및 연간 지역경제동향'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 연간 소매 판매는 전년과
비교해 2.2% 감소했다. 총 17개 시도에서 모두 마이너스를 기록한 결과다.
 |
2024년 주요 지역경제 지표 [자료=통계청] 2025.02.18
rang@newspim.com |
17개 시도 중 가장 큰 폭의 마이너스를 기록한 지역은 ▲울산(-6.6%) ▲경기(-5.7%) ▲강원(-5.3%)
▲인천(-5.0%) ▲서울(-4.4%) 등으로 나타났다. 전문 소매점과 승용차·연료소매점 등에서 판매가 줄면서 소매
판매를 끌어내렸다.
비교적 완만한 감소폭을 보인 지역은 ▲부산(-1.5%) ▲충북(-1.5%) ▲충남(-0.8%) ▲세종(-0.1%)
등이었다.
전국 생산은 전년과 비교해 광공업은 4.1%, 서비스업은 1.4% 각각 증가했다. 광공업 생산은 인천·경기 등
10개 시도에서 늘고 강원·충북 등 6개 시도에서 줄었다. 서비스업 생산은 제주와 인천을 비롯한 8개 시도에서
증가한 반면, 세종과 경남 등 8개 시도에서는 감소했다.
세부적으로 광공업 생산은 인천(20.9%)과 경기(17.4%)에서 두 자릿수 폭으로 크게 늘었다. 이밖에
대전(5.3%)과 광주(5.0%), 경남(4.2%) 등도 플러스를 기록했다. 의약품과 반도체·전자부품, 담배 등의 생산이
늘어난 영향을 받았다.
반면 강원(-7.8%)과 충북(-5.2%), 서울(-3.0%) 등은 전년 대비 감소했다. 여기에는 전기·가스와 전기
장비, 의복·모피 등의 생산이 줄어든 사실이 작용했다.
서비스업 생산은 제주(4.5%)와 인천(4.3%), 울산(1.6%) 등에서 늘었다. 정보통신과 예술·스포츠·여가,
보건·복지 등에서 생산이 증가한 것에 탄력을 받았다.
반면 세종(-2.6%)과 경남(-2.4%), 전북(-1.0%) 등에서는 줄었다. 부동산과 금융·보험 등 분야에서
생산이 감소한 배경이 작용했다.
 |
2024년 수출 [자료=통계청] 2025.02.18
rang@newspim.com |
전국 수출은 전년과 비교해 8.1% 증가했다. 메모리 반도체와 컴퓨터 주변기기, 프로세서·컨트롤러 등의 수출이
늘어난 데 영향을 받았다. 지역별로는 10개 시도에서 늘고 7개 시도에서 줄었다.
경기(24.4%)와 세종(24.3%), 충남(16.6%) 등은 메모리 반도체와 기타 인조 플라스틱 등의 수출이 늘어
두자릿수 증가폭을 기록했다.
대구(-19.4%)와 광주(-12.2%), 전북(-9.7%) 등은 기타 유기·무기 화합물과 프로세서·컨트롤러, 기타
일반 기계류 등의 수출이 줄어든 영향으로 감소했다.
지난해 연간 고용률은 62.7%로 전년 대비 0.1%포인트(p) 상승했다. 이는 30대와 40대 등의 고용률이 오른
영향이다. 서울과 세종을 포함한 13개 시도에서 늘고 대구·대전 등 3개 시도에서 줄었다.
구체적으로 서울(0.6%p)과 세종(0.6%p), 광주(0.5%p) 등의 고용률은 상승한 반면 대구(-1.8%p),
대전(-1.0%p), 전남(-0.8%p)의 고용률은 하락했다.
 |
2024년 소비자물가지수 [자료=통계청] 2025.02.18
rang@newspim.com |
지난해 연간 소비자 물가는 전년보다 2.3% 상승했다. 17개 시도에서 모두 오름세를 기록했다.
제주(1.8%)와 충남(2.0%), 대구(2.2%) 등은 전국 평균보다 낮은 수치를 기록했다. 반면
인천(2.6%)과 광주(2.5%), 전남(2.5%) 등은 농산물과 외식 제외 개인 서비스 등이 오른 탓에 전국 평균보다
높게 상승했다.
지난해 4분기에 한해 보면 소매 판매는 전년 동기와 비교해 2.1% 감소했다. 세종(4.6%)·광주(2.5%) 등
4개 시도에서 늘고 인천(-6.5%)·대전(-5.6%) 등 12개 시도에서 줄었다.
4분기 광공업 생산은 3.7%, 서비스업 생산은 1.4% 각각 증가했다. 광공업 생산은
경기(13.7%)·인천(11.0%) 등 11개 시도에서, 서비스업 생산은 인천(3.1%)·제주(2.0%) 등 10개
시도에서 늘었다.
수출은 전년 4분기와 비교해 4.2% 증가했다. 충남(13.9%)·인천(12.4%) 등 10개 시도에서 늘어난
반면, 광주(-17.4%)·세종(15.6%) 등 7개 시도에서 줄었다.
4분기 고용률은 전년 동기보다 0.1%p 하락했다. 세종(2.0%p)과 인천(1.0%p) 등 7개 시도에서
상승하고, 대구(-1.4%p)와 광주(-1.2%p) 등 8개 시도에서 하락했다.
소비자물가는 전년 4분기와 비교해 1.6% 상승했다. 세종(1.9%)과 대전(1.7%)을 비롯한 모든 시도에서 전년
동기보다 상승세를 보였다.
 |
2024년 4분기 주요 지역경제 지표 [자료=통계청]
2025.02.18 rang@newspim.com |
rang@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