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협은행 순익 절반인 '9000억 배당'…당국 경고도 무시한 자본유출
[서울=뉴스핌] 정광연 기자 = NH농협은행이 9000억원에
달하는 농협중앙회에 대한 결산 배당금을 확정했다. 최근 4년간 배당금 규모만 3조3000억원을 넘어선다.
금융감독원이 대규모 자금유출에 따른 건전성 악화 및 위기대응능력
약화 등을 경고했음에도 은행 순이익의 절반 가량이 지속적으로 중앙회로 유입되고 있다. 금융당국이 이에 대한 관리·감독을
예고해 배당금을 둘러싼 논란은 더욱 확산될 전망이다.
18일 농협은행에 따르면 은행 이사회가 의결한 지난해 결산
배당금은 8900억원으로 전년 8700억원 대비 200억원 증가했다. 농협은행의 작년 순이익이 1조8070억원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순익의 절반 가량이 배당에 활용된다.
 |
[서울=뉴스핌] 정광연 기자 = 2025.02.18
peterbreak22@newspim.com |
통상 기업의 배당 확대는 주주환원 측면에서 환영을 받지만,
농협은행은 상황이 다르다. 지배구조상 농업협동조합중앙회(중앙회)가 100% 지분을 보유한 농협금융지주의 100%
자회사이기 때문에 배당금 전액은 지주를 거쳐 중앙회 자금으로 유입된다.
농협은행의 최근 4년간 배당금은 2021년 7400억원,
2022년 8650억원, 2023년 8700억원에 이어 지난해 8900억원 등 3조3000억원에 달한다. 이는 같은기간
누적 순이익 6조8600억원의 48%에 달하는 규모다. 지난해 뿐 아니라 최근 매년 순이익의 절반 가량이 중앙회로 넘어간
셈이다.
업권에서는 이처럼 과도한 배당규모에 대해 지속적인 우려를
나타내왔다. 농협은행 자본비율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고 고객을 위한 다양한 서비스 고도화에도 장애가 될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지난해 농협금융에 대한 정기감사를 실시한 금감원 역시 이 부분에
대한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
금감원은 지난 4일 주요 농협금융 정기검사 결과를 발표하며
"중장기 자본관리계획 없이 매년 대주주(중앙회)에 거액을 배당해 자체 위기대응능력이 약화됐다"고 지적했다. 농협의
특수성을 감안하더라도, 이미 상당 규모의 농업지원사업비(농지비)를 납부하는 상황에서 다시 거액의 자본이 유출되는 건
스스로 관리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농협은행은 배당금 외에도 농협의 경제사업을 지원하기 위한
농지비를 2021년 3156억원, 2022년 3247억원, 2023년 3306억원, 2024년 3702억원 등 지난
4년간 1조3000억원을 납부했다. 배당금까지 포함하면 4년간 8조원이 넘는 막대한 자본이 중앙회로 유입됐다.
이미 금감원은 지난 2020년 농협은행에 대해 농지비 산정방식에
문제(과다산정)가 있다며 경영유의 조치를 내린바 있다. 상당한 농지비에 과도한 배당금까지 더해지며 농협은행은 물론, 그룹
전체의 건전성이 위협받고 있다는 게 금융당국의 판단이다.
국내외 경제 불확실성이 커지는 상황임에도 농협은행이 지난해
신용손실충담금을 대폭 줄인 것 역시 논란을 낳고 있다. 전년 1조6843억원 대비 42% 급감한 9696억원을
적립했는데, 이를 통해 순이익을 확대, 배당금 규모를 늘리기 위한 조치 아니냐는 지적이다.
특히 금융당국은 이같은 문제를 단순한 자금유출을 넘어 농협은행
및 지주에 대한 중앙회의 과도한 경영상 '개입'의 일환으로 보고 지속적인 관리 및 감독을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하지만 농협은행과 농협지주 모두 대규모 배당금 책정에 대해
문제가 없다는 입장을 유지하고 있어 이를 둘러싼 논란은 확대가 불가피할 전망이다.
농협은행 관계자는 "최대주주인 농협지주 자체가 농협법에 따라
금융사업에 발생한 이익을 농업인 조합원을 위해 환원하는 것을 목적으로 설립됐다"며 "적정수준을 배당을 통해 농업인
지원사업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peterbreak22@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