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뉴스핌] 김보영 기자 = 행정안전부는 수도권을 제외한 14개 시·도와 함께 지역 투자 유치 활성화를 위해 힘을 모았다. 이는 기업을 '원스톱'으로 지원하는 지원체계를 출범해 지역 투자를 유도하겠다는 구상이다.

행안부는 27일 오후 비수도권 14개 시도가 함께하는 지자체 기업 지원체계 출범식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출범식은 최근 수도권 소재 기업의 본사와 공장 유치에 성공한 충북 음성군에서 개최됐다.

           행정안전부 정부세종청사 중앙동 입구=김보영 기자 2024.06.27 kboyu@newspim.com

이번 출범식은 유관기관과 함께 기업지원TF를 운영해 최근 수도권 소재 기업의 본사와 공장 유치에 성공한 충북 음성군에서 개최됐다.

이번 행사는 ▲지자체, 유관기관의 원스톱 지원 창구 운영 ▲통합 지원조직을 통한 행정절차 간소화 ▲사후관리를 통한 이전기업 정착 지원 등 지역 투자를 활성화하기 위한 '기업 지원체계 구축'을 위해 마련됐다.

출범식에 앞서 음성군과 울산시는 유치 과정에서 실행한 기업지원 사례를 발표했다. 음성군은 이전 과정에서 폐수 유입량 및 처리가능량 초과로 산단 입주가 어렵게 되자 기업지원TF를 구성해 적극적인 유치 활동으로 적기에 부지를 제공했다.

울산시는 전담 공무원 파견을 통해 통상 3년 정도 소요되는 행정절차를 원스톱 서비스 방식으로 10개월에 완료하는 성과를 거뒀다. 행안부는 이날 기업의 지역 투자 활성화를 위해 유관기관 등이 함께 참여하는 '기업 지원체계 구축' 방안을 발표했다.

기업 지원체계는 지자체의 기업지원 업무 창구를 일원화하고 관계부서와 유관기관이 참여하는 통합적 기업 지원체계를 구축하는 것으로, 투자 의향 단계부터 사후관리까지 기업투자의 모든 단계를 원스톱으로 지원하는 것을 주요 내용으로 한다.

이에 따라 행안부는 기업 지원체계의 원활한 작동을 제도적으로 뒷받침하기 위해 '민간기업 전담 공무원'의 운영 근거를 마련해 이날부터 시행하기로 했다.

이와 함께 지역투자 기업의 인력난 해소를 위해 인구감소지역에 소재한 기업이 복무 가능한 병역지정업체로 유리하게 선정될 수 있도록 관계부처와 협의를 마치고 올해 하반기부터 적용할 예정이다.

이상민 행안부 장관은 "기업과 지역이 함께 성장과 발전을 이룰 수 있도록 기업지원체계를 통해 적극 뒷받침하겠다"고 말했다.

kboyu@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