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뉴스핌] 정성훈 기자 = 지난 5월 사업체종사자 증가 폭이 16만2000명 증가하는데 그쳤다. 

경기 침체 장기화에 따라 사업체종사자 증가 폭은 꾸준한 감소세를 보이고 있는데, 숙박·음식점업과 교육서비스업에서 감소세가 뚜렷하다.   

◆ 5월 기준 사업체종사자 0.8%% 늘어난 2013만2000명

고용노동부가 27일 발표한 '2024년 5월 사업체노동력조사' 결과에 따르면, 5월 말 기준 종사자 1인 이상 사업체종사자는 2013만2000명으로 전년 동월(1997만명) 대비 16만2000명(0.8%) 늘었다. 

사업체종사자 증가세는 지난해 8월부터 확연히 둔화되는 모습이다. 그나마 제조업과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종은 회복세를 보이고 있지만, 숙박·음식점업과 교육서비스업 등에서 감소 폭이 커지고 있다.

2024년 5월 사업체노동력조사 [자료=고용노동부] 2024.06.27 jsh@newspim.com

종사상지위에 따른 종사자 수는 상용근로자 1672만2000명, 임시일용근로자 195만5000명, 기타종사자 124만3000명이었다. 각각 지난해 5월 대비 6만9000명(0.4%), 8만1000명(4.2%), 1만2000명(1.0%) 증가했다.

규모별로는 상용 300인 미만은 1675만3000명으로 13만명(0.8%), 300인 이상은 337만9000명으로 3만2000명(1.0%) 각각 늘었다.

1년 전보다 사업체종사자가 증가한 산업은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8만8000명, 3.8%),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2만7000명, 2.1%), 사업시설관리, 사업지원 및 임대 서비스업(1만8000명, 1.5%) 순이다. 

숙박 및 음식점업(-2만2000명, -1.8%), 교육서비스업(-1만7000명, -1.1%), 협회 및 단체, 수리 및 기타 개인서비스업(-3000명, -0.6%) 등은 종사자 수가 줄었다. 

종사자 감소세는 특히 숙박 및 음식점업과 교육서비스업에서 크게 두드러졌다. 숙박 및 음식점업 종사자는 지난 2월부터 3개월째 감소했고, 교육서비스업은 3개월 연속 증가 폭이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전 산업 중 종사자 수 비중이 가장 큰 제조업(약 19%)은 1만1000명 증가했다. 중분류별로 보면 종사자 수는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1만3000명), 화학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3000명), 식료품 제조업(2000명) 등에서 전년 대비 늘었다.

반면 의복·의복 액세서리·모피제품 제조업(-6000명), 전자부품·컴퓨터·영상·음향·통신장비 제조업(-4000명), 섬유제품 제조업(-3000명) 등은 줄었다.  

◆ 4월 기준 월평균 임금 386만6000원·근로시간 159.4시간

4월 말 기준 상용근로자 1인 이상 사업체의 전체근로자 1인당 임금총액은 386만6000원으로 전년 동월 대비 4.3%(16만원) 증가했다.

물가수준을 반영한 근로자 1인당 실질임금은 339만1000원으로 전년 동월(334만5000원)대비 1.4%(4만6000원) 증가했다. 

2024년 5월 사업체노동력조사 [자료=고용노동부] 2024.06.27 jsh@newspim.com

상용근로자 1인당 임금총액은 410만원으로 4.4%(17만4000원) 늘었고, 임시일용근로자는 184만2000원으로 8.2%(13만9000원) 증가했다.

상용근로자 임금을 내역별로 보면, 정액급여는 351만7000원으로 3.5%(12만원), 초과급여는 23만9000원으로 9.4%(1만6000원) 각각 늘었다. 특별급여는 34만4000원으로 10.8%(3만3000원) 증가했다.

상용 300인 미만 사업체의 근로자 1인당 임금총액은 350만3000원으로 3.2%(10만8000원) 증가했고, 300인 이상은 564만9000원으로 8.1%(42만2000원) 늘었다. 

임금총액이 많은 산업은 금융 및 보험업(701만6000원), 전기·가스·증기·공기조절 공급업(586만6000원) 등이었다. 숙박 및 음식점업(210만2000원), 사업시설관리·사업지원 및 임대서비스업(271만3000원) 등은 임금총액이 적은 산업으로 나타났다.

4월 말 기준 상용근로자 1인 이상 사업체의 전체근로자 1인당 근로시간은 159.4시간으로 전년 동월 대비 4.8시간(3.1%) 증가했다. 

2024년 5월 사업체노동력조사 [자료=고용노동부] 2024.06.27 jsh@newspim.com

근로시간이 긴 산업은 제조업(176.6시간), 수도·하수·폐기물처리·원료재생업(173.7시간), 짧은 산업은 건설업(130.8시간), 숙박·음식점업(138.2시간) 등이다. 

상용근로자 1인당 근로시간은 167.7시간으로 5.8시간(3.6%) 증가했고, 임시일용근로자는 87.5시간으로 0.7시간(-0.8%) 각각 감소했다.

고용부 관계자는 "상용근로자는 월력상 근로일수가 전년 동월 대비 1일 증가해 근로시간 증가했다"면서 "임시일용근로자의 경우 상대적으로 종사자 수가 많고 근로시간이 짧은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 등에서 종사자 수가 늘어나 총근로시간 평균이 줄었다"고 설명했다.

jsh@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