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박우진 기자 = 경찰청과 국가과학기술연구회는 27일 업무협약을 맺고, 치안 분야 과학기술 진흥과 국가 연구개발 성과의 치안현장 접목과 활용을 위한 협의체를 발족하기로 했다.

이날 협약은 세종시에 있는 국가과학기술연구회에서 진행됐다. 체결식에는 윤희근 경찰청장과 김복철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이사장을 포함해 정부출연 연구기관(출연연) 기관장들이 참석했다.

업무 협약에서 양 기관은 '국민 안전을 책임지는 선도형 과학치안 구현'을 공동 목표로 설정하고, '치안 분야 과학 기술 진흥'과 '국가 연구개발 성과의 치안현장 접목·활용'을 도모하기로 했다.

협약에 앞서 윤 청장은 지난해 8월 25일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이사진과 25개 출연연 기관장을 경찰인재개발원에 초청해 간담회를 진행했다.

이 자리에서 과학기술을 기반으로 경찰 역량을 강화해야 한다는 공감대가 형성됐고, 출연연이 보유한 원천 기술과 축적된 과학기술 역량을 치안현장에 접목하는 내용을 주요 협력 방안으로 제시하기도 했다.

경찰청 본청 [사진=뉴스핌DB]

협약을 바탕으로 '과학치안 출연연 협의체'도 발족할 예정이다. 협의체는 ▲신종 범죄 예방·수사 ▲미래교통·모빌리티 ▲치안 서비스·경호 ▲첨단 경찰·현장 안전 등 4개 분과로 운영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협의체에는 치안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기술을 다수 보유한 10개 출연연이 우선 참여한다.

경찰대 치안정책연구소(PSI), 경찰청 연구관리 전문기관인 과학치안진흥센터(KIPoT)와 미래치안정책국 등 경찰 내 관련 기능이 협력하게 된다.

각 분과에서는 치안 현장 수요와 출연연이 보유한 과학기술을 접목해 신규 연구개발 과제를 발굴·기획하고, 분과 간 융합연구를 활성화와 치안정책연구소와 공동연구를 추진하는 등 실질적인 연구개발 협력 시스템으로 발전시킬 예정이다.

소재·부품·장비, 정보문화기술(ICT)·시스템 등 출연연이 기존에 보유한 다양한 원천기술이나 연구개발 결과물을 실용화해 국민 체감 성과로 확산하고, 치안산업 기업에 기술을 이전하는 등 상용화·산업화에도 기여할 계획이다.

윤희근 경찰청장은 "과학기술 발전 속도를 고려할 때 국가발전과 국민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해답은 과학치안이다"면서 "이번 협약으로 출범할 '과학치안 출연연 협의체'는 치안현장과 연구기관을 직접 연결하는 혁신적인 협력 모델로 과학치안을 도약시키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krawjp@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