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복현 금융감독위원장이 26일 오전 서울 대흥동 상장기업회관에서 한국상장회사협의회, 코스닥협회, 한국경제인연합이 공동 주최한 '기업 밸류업 지배 구조 개선 세미나'에 참석해 축사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주주 중심의 기업지배구조 개편과 함께 기업 활동을 저해하는 과도한 규제와 세금 부담을 완화하는 방안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원장은 26일 서울 마포구 상장회사회관에서 열린 '기업 밸류업을 위한 지배구조 개선 세미나'에 참석해 "코리아 디스카운트 해소를 위해 G20(주요 20개국)·OECD(경제협력개발기구) 기업지배구조 원칙 등 글로벌 스탠다드에 맞는 방향으로 개편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 그는 "특히 주주의 권리 행사가 보호·촉진되고 모든 주주가 합당한 대우를 받는 지배구조가 마련돼야 한다"고 말했다.

특히 "이사회는 기업 전략 설정과 경영진 감시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는 한편 기업과 주주에 대한 책임성을 가져야 한다"고 당부했다.

이를 통해 모든 주주가 기업 성과를 공정하게 공유하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정립해야 코리아 디스카운트를 해소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 원장은 기업지배구조 개편과 함께 "과도한 규제, 세 부담 등 기업 활동의 예측 가능성을 저해하는 법적·제도적 장애 요인을 제거하고 창의적·모험적 기업 활동을 장려하는 제도 개선도 병행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불편한 주제라고 논의를 미루면 위기 극복이 더 어려워진다"며 "금년 하반기가 자본시장 선진화를 위한 건설적 대안을 마련할 최적의 시기인 만큼, 골든타임을 놓치지 않도록 학계와 경제계, 시장전문가, 유관기관과 긴밀한 논의를 계속하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