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정의(孫正義·일본명 손 마사요시) 일본 소프트뱅크그룹 회장이 21일 도쿄에서 열린 주주총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그는 인공지능(AI) 혁명이 폭발적으로 일어나고 있다고 말했다. (사진=연합뉴스)

 

지난해 발생한 '라인' 개인정보 유출 사고가 일본 보안업체의 솔루션 사용 과정에서 발생했다는 지적이 나왔다.

25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최민희 위원장(더불어민주당)이 네이버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네이버클라우드는 일본 트렌드마이크로의 보안 솔루션을 도입해 사용하고 있다.

트렌드마이크로는 창립 당시 미국에 본사를 뒀으나 현재는 일본 도쿄에 본사를 둔 기업으로 지난 1997년 도쿄 거래소에 상장했다.

네이버 관계자는 최 의원실 측에 "트렌드마이크로와 계약조건에 따라 트렌드마이크로의 국내 파트너사에 보안솔루션 유지보수 업무를 맡겨야 하는 구조"라고 설명했다.

라인 사태는 지난해 8월 트렌드마이크로가 지정한 협력업체 직원의 PC가 악성코드에 감염된 것에서 시작됐다.

이 감염은 네이버클라우드 서버로 확산되어, 결국 라인 이용자 51만 명의 개인정보 가 유출되는 사태로 이어졌다.

이와 관련해 일본 총무성은 라인야후에 대한 네이버의 영향력 축소를 요구하는 행정지도를 두 차례 내렸다.

이는 사실상 네이버의 라인야후 경영권 약화를 압박하는 조치로 해석되며 논란이 불거졌다.

최 의원은 "라인 개인정보 유출 사건은 운영을 책임진 네이버 측의 잘못을 지적하지 않을 수는 없다"면서도 "실제로는 보안 솔루션을 담당한 일본 기업과 그 파트너사의 보안에 구멍이 생겨서 벌어진 것으로 오히려 이들이 네이버보다 책임이 더 클 수도 있는 상황"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라인 개인정보 유출의 진상을 알고보니, 네이버가 일본 기업의 보안 솔루션을 믿고 맡겼다가 사고가 난 것"이라며 "그런데도 일본 정부가 노골적인 네이버 몰아내기로 기업 활동의 자유를 침해하는 것은 부당한 일이 아닐 수 없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최 의원은 "우리 정부가 이를 파악하고도 '행정지도에 지분 매각 요구가 없었다'는 식으로 일본을 감쌌던 것인지 진상규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국회 과방위는 이날 이종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증인으로 출석해 라인야후 사태에 대한 질의를 할 예정이다.

당초 최수연 네이버 대표도 참고인으로 출석할 예정이었으나, 24일 밤 불출석 사유서를 제출해 불참하게 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