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연합뉴스)

 

 현대자동차 노동조합이 합법적으로 파업에 나설 수 있는 파업권 확보에 성공했다. 6년 만이다. 


올해 임단협 핵심 요구안인 ‘정년연장’ 등을 놓고, 노사간 이견이 큰 상황 속에서 노조 파업 찬반투표에서 압도적 지지로 파업을 가결시켰다.

현대차 노조는 24일 오후 6시 전체 조합원(4만3160명)을 대상으로 한 쟁의행위(파업) 찬반투표 결과, 4만1461명(투표율 96.06%)이 투표, 3만8829명(재적 대비 89.97%, 투표자 대비 93.65%)이 찬성했다.

중앙노동위원회도 이날 올해 교섭에서 노사 양측 입장 차이가 크다고 판단해 조정 중지 결정을 내리면서 노조는 파업권을 획득하게 됐다.

현대차 노조 관계자는 알파경제에 “역대 성과에 걸맞은 제시를 요구했음에도 예년과 같은 수준 제시로 조합원들을 기만했다”면서 “조합원들은 쟁의행위 찬성에 압도적으로 지지함으로써 힘을 실어줬다”고 말했다.  

 

(사진=현대차 노동조합)

노조는 오는 27일 중앙쟁의대책위원회(쟁대위) 출범식을 개최하고, 파업 여부와 일정을 논의할 계획이다. 올해 노조가 실제 파업에 들어가면 2018년 이후 6년 만이다.

현대차 노조는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정년연장 카드를 꺼내 들고, 사측과 대화에 나서고 있다. 국민연금 지급 시기가 연기되면서 노동계에서는 정년연장에 대한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반면, 사측은 정년연장에 대한 사회적 합의가 이뤄지지 않은 상태에서 현대차가 선제적 도입하는 건 쉽지 않다는 입장이다.

특히 사측은 정년 연장시 임금 부담이 크게 높아지기 때문에 거부감이 클 수밖에 없다.

여기에 임금 관련 안건도 이견이 크다. 노조는 현재 ▲기본급 15만 9000원(호봉승급분 제외) 인상 ▲전년도 순이익 30% 성과급 지급 ▲상여금 900% 인상 등을 사측에 제안하고 있다.

이와 함께 매주 금요일 4시간 근무제 도입도 요구했다.

반면 사측은 ▲기본급 10만 1000원 인상 ▲경영성과금 350%+1450만원 ▲글로벌 누적 판매 1억대 달성 기념 품질향상격려금 100% ▲주식 20주 지급 등을 제시하고 있다.

사측은 이와 별도로 연구·사무직(사원·대리급)을 대상으로 한 임금체계 개편안도 최근 노조에 전달했다.

현재 연구·사무직 과장급 이상에게만 적용되는 연봉제를 사원·대리급으로 확대하는 것이 골자다.

노조는 개편안을 ‘개악’이라고 비판하고 있다. 지나친 경쟁을 초래할뿐 아니라 연봉제가 생산직으로 확대될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