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김태훈 기자 = 7·23 국민의힘 당권 경쟁이 치열해질 전망이다. 유력 주자로 꼽히는 나경원 의원·한동훈 전 비상대책위원장·원희룡 전 국토교통부 장관이 23일 1시간 차로 자신들의 강점을 내세우며 출사표를 던졌다.

나 의원은 계파 없는 중진 의원으로서 원내에서 거대 야당에 맞서겠다고 밝혔다. 한 전 위원장은 수평적·실용적 당정관계 재정립을 내세웠고, 원 전 장관은 윤석열 대통령과의 친분을 과시하며 '레드팀'을 만들어 소통해 나가겠다고 전했다.

[서울=뉴스핌] 윤창빈 기자 = 나경원 국민의힘 의원(왼쪽부터), 한동훈 전 국민의힘 비상대책 위원장, 원희룡 전 국토교통부 장관이 23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당대표 출마선언을 하고 있다. 2024.06.23 pangbin@newspim.com

가장 먼저 출사표를 던진 건 나 의원이다. 그는 23일 오후 1시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한 명은 인천 계양을에서, 한 명은 전국 싸움에서 졌다"라며 "이재명 대표를 이긴 사람은 나뿐"이라며 "2027년 대선에서 반드시 이길 수 있는 당의 기초를 만들겠다"고 말했다.

나 의원은 자신의 강점으로 ▲이길 줄 아는 사람 ▲통합과 균형의 적임자 ▲흔들림 없이 보수를 지켰다 등 3가지를 꼽았다. 그는 "총선 참패의 쓰나미 속에서도 대한민국 심장부 서울 지역구를 탈환했다. 승리는 말로 하는 것이 아니다. 승리는 결과로 입증하는 것"이라며 "수도권 생존 5선 정치인의 지혜, 전략, 경험을 오롯이 보수재집권을 위해 쏟아붓겠다"라고 강조했다.

이어 "저는 계파도, 앙금도 없다. 줄 세우는 정치, 줄 서는 정치 제 사전에 존재하지 않는다. 그런 제가 윤석열 정부를 성공시킬 수 있다"라며 "부족함과 실수가 있다면 과감히 고쳐나갈 것이다. 당정동행, 밀어주고 끌어주며 같이 갈 것"이라고 다짐했다.

아울러 "국민의힘에는 훌륭한 대권주자가 많다. 그들이 빛나야 한다. 당 대표는 묵묵히 대권주자를 빛나게 해야 한다"라며 "계파 없고, 사심 없는 제가 그 적임다"라고 힘줘 말했다.

두 번째로 출사표를 던진 한 전 위원장은 "그토록 염원했던 총선 승리였지만 결과는 너무도 뼈아팠다. 오로지 저의 책임이다. 그런데 지금 우리는 변화하고 있나"라며 "지난 두 달은 반성과 혁신의 몸부림을 보여드렸어야 할 골든타임이었지만, 우리는 국민 요구에 묵묵부답하며 오히려 퇴보하는 모습만 보여드렸다"고 꼬집었다.

그는 "당정관계를 수평적으로 재정립하고 실용적인 방향으로 쇄신하겠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풀뿌리 정치 부활, 당 싱크탱크인 여의도연구원의 정책기능 강화 등을 제시했다.

한 전 위원장은 이외에도 ▲외연 확장 ▲저출산·지방소멸·연금개혁·AI·기후변화 등 시대적 비전 제시 ▲야당과의 소통을 통한 여소야대 정국 타개 등 자신의 구상을 피력했다.

마지막으로 원 전 장관은 "윤석열 정부의 성공을 제가 책임지겠다"며 "신뢰가 있어야 당정 관계를 바로 세울 수 있다. 저는 대통령과 신뢰가 있다"고 말했다.

이어 "책임지겠다. 윤석열 정부는 '우리 모두 함께' 정부"라며 "정부가 성공해야 정권을 재창출하고 무도한 세력에 맞서 대한민국을 지켜낼 수 있다. 활발하게 소통하는, 살아 숨 쉬는 정당을 만들겠다"고 강조했다.

원 전 장관은 대통령에게 당심과 민심을 가감 없이 전달하기 위한 당의 '레드팀'을 만들겠다고 공약했다. 그는 "레드팀이 취합한 생생한 민심을 제가 직접 대통령께 전달하고, 그 결과를 국민들께 직접 보고하겠다"고 설명했다.

[서울=뉴스핌] 윤창빈 기자 = 한동훈 전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을 응원하는 지지자들이 23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 소통관에 한동훈 전 위원장을 응원하고 있다. 2024.06.23 pangbin@newspim.com

신경전도 펼쳐졌다. 가장 예민한 주제로 꼽히는 채상병 특검법에서 한 전 위원장은 현재 국민의힘과의 입장과는 다른 의견을 내비쳤다.

한 전 위원장은 "우리 보수는 안보에서 다른 정치 세력에 뒤지면 안 된다. 그런 면에서 집권여당과 정부가 크게 반성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전했다.

이어 "채상병 특검법과 관련해서는 국민들이 의구심을 가지고 계신다. 그 의구심을 저는 풀어드려야 한다고 생각한다"라며 "지금 이 시점에서 우리 국민의힘이 특검을 반대할 수 없다고 생각한다. 진실규명을 위한 특검을 우리 국민의힘이 나서서 추진해야 한다는 게 제 생각"이라고 힘줘 말했다.

나 의원은 "진실 규명용 특검이라면 언제든지 생각해 보겠지만, 어제 법제사법위원회(입법청문회) 진행 과정을 보면 꼭 인민재판을 하는 것 같다. 그만큼 특검이 진실 규명보다 정권을 끌어내리려는 목적이 있다는 것을 상당히 보여준다"며 "수사가 끝난 다음 미진한 부분이 있다면 당연히 고민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원 전 장관 역시 "우선 공수처의 수사가 철저히 진행되도록 하고 그게 진행된 결과를 보고 미진한 것이 있다면 그때 특검을 논의할 수도 있다"고 견해를 밝혔다.

한 전 위원장의 입장에 대해선 "국민의힘 현역 의원들 절대 다수가 반대하는 것으로 알고 있다"라며 "독소조항 등 여야 합의가 이루어진다면 논의를 할 수도 있지만, 현재 야당이 의석수를 가지고 밀어붙이는 특검법을 찬성할 순 없다"고 꼬집었다.

taehun02@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