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의 한 재건축 단지. (사진=연합뉴스 자료사진)

 

은행·보험업권이 부동산 PF 시장의 자금순환을 촉진하기 위해 최대 5조원 규모의 PF 신디케이트론을 조성한다.

금융위원회는 20일 중구 은행회관에서 5개 은행과 5개 보험사가 '은행·보험업권 PF 신디케이트론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에 따라 5개 은행(NH농협·신한·우리·하나·KB국민)과 5개 보험사(한화생명·삼성생명·메리츠화재·삼성화재·DB손해보험)는 1조원 규모의 공동 신디케이트론을 조성한다. 

 

향후 시장 상황 등을 고려해 최대 5조원까지 규모를 늘릴 계획이다. 재원 비율은 행 80%, 보험 20%다.

대출 대상 사업장은 일정 정도의 사업성을 확보한 부동산 PF 사업장 중 소송 등 법률 리스크가 없고 대주단 간 분쟁이 없는 사업장이다.

최소 대출 금액은 300억원으로 설정됐으며, 신속한 사업 추진 역량을 갖춘 사업자를 우선 지원할 방침이다.

이번 신디케이트론은 차주 유형 및 자금 용도에 따라 4가지 유형으로 운영된다.

먼저 경·공매 낙찰을 받아 신규로 부동산 PF 사업을 진행하기 희망하는 신규 사업자는 경락자금대출을 받을 수 있다.

또 소유권·인허가권을 양수받아 수의계약으로 사업장을 인수하여 사업을 진행하고자 하는 차주는 자율매각 사업장 인수자금 대출, NPL 금융기관 및 NPL 펀드가 부동산 PF 사업장 NPL 할인매입 과정에서 필요한 자금을 대출하는 NPL 투자기관 대출도 있다.

이 밖에 정상적으로 사업이 진행되고 있으나 공사비 부족 등 유동성 애로를 겪는 사업장은 일시적 유동성 애로 사업장 대출을 받을 수 있다.

김소영 부위원장은 "은행·보험업권 PF 신디케이트론이 상대적으로 금리가 낮고 브릿지론의 본PF 전환이 용이하여 경·공매 시장에 참여한 참여자의 매수여력이 확대될 것으로 기대된다"며 "금번 신디케이트론이 부동산 PF 사업 정상화를 위한 마중물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차질 없이 자금을 집행해주길 바란다"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