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조승진 기자=교육부는 한국연구재단, 국가연구시설장비신흥센터와 첨단 연구 장비 운용·관리에 들어가는 비용을 정부가 일괄 지원하는 사업의 구체적인 부문 10개를 선정했다고 20일 밝혔다.

이 사업은 대학의 첨단 연구개발(R&D) 장비 도입 및 운영을 지원하는 '기반(인프라) 고도화' 사업으로 불린다.

[사진=교육부 제공]

사업에 선정되면 대학 소속 연구소, 연구지원시설은 첨단 연구개발 장비 구축 비용으로 평균 50억원을 지원받는다.

아울러 연구시설・장비 운영・관리 및 개선, 전담운영인력(테크니션) 육성·운용에 소요되는 비용 등 연평균 5억원을 5년간 추가로 받는다. 장비 지원액은 관련 법령에 따라 '국가연구시설 장비심의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최종 확정된다.

이번에 선정된 부문은 중형 과제(장비 구축비 20~50억원 미만) 5개, 대형 과제(장비 구축비 50~70억원 이하) 5개를 합쳐 총 10개로, 생명과학, 물리학, 화학, 전기·전자 등 다양한 기술 분야다.

그간 대학이 세계적 수준의 혁신적인 연구개발(R&D)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첨단 연구 장비 구축 및 관리·운영이 필수적이지만, 장비 도입 이후 발생하는 비용은 연구자 몫으로 남겨뒀다는 한계가 있었다고 교육부는 설명했다.

또 첨단 연구개발 장비의 활용성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전담운영인력(테크니션)을 육성·운영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심민철 인재정책기획관은 "대학이 연구진의 우수한 역량과 전문성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는 최고 수준의 물적·인적 기반을 구축하는 첫발"이라고 밝혔다.

chogiza@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