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연합뉴스)

 

금융감독원이 신용협동조합(신협)에 대한 수시 검사에 나섰다.

올해 들어 신협의 연체율이 급격히 상승하면서 건전성에 대한 우려가 커졌기 때문이다. 금감원은 2주 간의 점검을 통해 후속 조치 여부를 결정할 계획이다.

20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감원은 이달 초부터 신협에 대한 수시 검사를 진행하고 있다.

5월 말 기준 신협의 연체율은 6% 후반대로 지난해 말(3.63%) 대비 약 3%포인트 올랐다. 이에 따라 금감원은 연체율 관리와 부실채권 매각 등의 상황 점검에 나선 것이다.

신협 관계자는 알파경제에 "부동산 경기 침체와 소상공인들의 경영난이 신협 연체율 상승의 주요 원인"이라면서 "특히 소상공인 대출 중에서도 법인 대출과 개인 사업자 대출의 비중이 상당히 크기 때문에 이들의 대출 상황 악화는 신협의 재무 건전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설명했다.

신협의 총자산은 지난해 말 기준 149조 7000억 원으로 농협(517조 1000억 원), 새마을금고(287조 원)에 이어 상호금융권에서 세 번째로 큰 규모다.

그러나 부실 대출 증가와 이에 따른 충당금 적립으로 인해 적자를 기록하는 단위조합이 크게 늘고 있다.

지난해 말 기준 신협의 단위조합 869개 중 275곳이 적자를 기록했다.

이는 단위조합 10곳 중 3곳 이상이 이익을 내지 못한 셈이다. 2022년 말까지 적자 조합이 42개에 불과했으나 한 해 만에 그 숫자가 무려 555%가 증가했다.

신협은 지방 소재 미분양 아파트, 빌라, 콘도 등 비우량 부동산에 대한 대출 비중이 높다.

이러한 채권들이 부실화돼 시장에 매물로 나오게 되면 건전성 지표가 더욱 악화할 가능성이 크다.

이에 따라 신협은 다음 달 중 부실채권 관리 전문 자회사 '케이시유(KCU) 엔피엘(NPL) 대부'를 설립해 건전성 관리를 강화할 계획이다.

신협 관계자는 "회사 규모 확장과 함께 조합들의 부실채권을 체계적으로 양도받아 신속하게 소각하고 이를 시스템화할 계획이다“면서 ”은행들과 다른 상호금융권은 연체율 지표가 낮은데 이는 부실채권을 자동으로 다른 기관에 넘겨 소각하는 시스템이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신협도 이와 같은 시스템을 구축하여 연체율 관리를 강화하고자 한다"고 덧붙였다.

자회사가 부실채권을 사들여 추심하거나 경매와 공매를 추진하겠다는 취지다. 신협은 ‘케이시유(KCU) 엔피엘(NPL) 대부’의 법인 등기 절차는 마무리 됐다고 전했다.

현재 채용 절차에 있으며 필수 인력을 추가 채용해 회사의 기본적인 구조를 갖추면 출범 업무를 개시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