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콕=뉴스핌] 홍우리 특파원 = 19일 로이터 통신과 러시아 관영 매체 타스 통신 등에 따르면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은 이날 북한 평양 금수산 영빈관에서 약 두 시간에 걸친 일대일 회담을 마치고 이 협정에 서명했다.

새 협정은 국제정치·경제·안보 등 다양한 분야에서 양국 간 협력의 기준이 될 협정이다. 1961년, 2000년, 2001년에 체결된 기존 문서를 대체한다.

타스통신은 "새 문서는 1961년 '조·소 우호 협조 및 상호 원조에 관한 조약', 2000년 '조·러 친선, 선린 및 협조에 관한 조약', 2000년 평양 선언과 2001년 모스크바 선언을 대체할 것"이라고 했다.

유리 우샤코프 크렘린궁 보좌관은 앞서 "세계와 지역의 지정학적 상황의 심층적인 변화와 최근 양국 관계에서 발생한 질적 변화로 인해 새로운 문서가 필요해졌다"며 "협정은 국제법의 모든 기본 원칙을 준수하고 어떠한 대립적 성격을 갖지 않으며 어떤 국가를 겨냥하지도 않을 것이지만 동북아 지역의 더 큰 안정을 보장하는 것을 목표로 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이날 낮 12시 40분께 시작된 북·러 정상회담에서 김 위원장은 "앞으로 어떤 복잡다단한 국제 정세속에서도 러시아와의 전략적 소통을 더욱 강화하고 긴밀히 할 것"이라며 "러시아의 모든 정책을 변함없이 무조건적으로 지지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 위원장은 "양국 관계가 사상 최고 전성기에 들어섰다"며 푸틴 대통령의 이번 방북에 대해 "세계 평화와 안전을 위한 가장 의의 있는 전략적인 행보"라고 발언했다.

푸틴 대통령은 "우크라이나를 포함한 러시아 정책에 대한 일관되고 변함없는 지지를 높이 평가한다"고 말했다.

푸틴 대통령은 "러시아는 수십 년간 미국과 그 동맹국의 패권주의적인 제국주의 정책에 맞서 싸우고 있다"며 "작년 김 위원장의 러시아 방문으로 우리는 오늘날 양국 관계 구축에 있어 의미 있는 진전을 이뤘다"고 자평했다.

푸틴 대통령은 이어 "오늘, 장기적으로 양국 관계의 기초가 될 새로운 기본 문서가 준비돼 있다"고 말했다. 

[평양 로이터=뉴스핌] 홍우리 특파원 = 19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북한 평양 김일성 광장에서 공식 환영식을 마친 뒤 기념 촬영하고 있다. 2024.06.19 hongwoori84@newspim.com

hongwoori84@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