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조승진 기자 = 한국 학생들의 '창의적 사고력' 평가 결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최상위권으로 나타났다. 부모의 직업 등 학생이 가진 배경 환경이 창의적 사고력 수준에 미치는 영향도 다른 국가에 비해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OECD는 18일 국제 학업성취도 평가(PISA) 2022 '혁신적 영역(창의적 사고력)' 결과를 발표했다. OECD는 2000년부터 3년 주기로 각국 만 15세 학생(중3~고1)의 읽기‧수학‧과학 등 학업 성취와 창의적 사고력 영역을 국제적으로 평가‧비교하고 있다. PISA 2022에는 OECD 회원국 28개국과 비회원국 36개국 총 64개국이 참여했다. 한국에서는 186개교 6931명이 이번 평가에 참여했다.

창의적 사고력 측정 문항. [사진=교육부 제공]

◆ 한국 학생들, OECD 국가보다 평균 5점 높아

창의적 사고력은 독창적이고 효과적인 문제해결 방안, 지식의 발전, 영향력 있는 상상력의 표현으로 이어질 수 있는 아이디어의 생성, 평가 및 개선에 생산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역량을 의미한다고 교육부는 전했다.

평가 결과 한국 학생은 60점 만점에 평균 38점으로 최상위권으로 올랐다. 순위로는 OECD 회원국 중 1~3위, 전체 참여국 중에서는 2~4위로 나타났다. 한국 학생 약 90%가 기초 수준 이상에 해당했다. 상위 성취 수준 비율은 약 46%에 달했다. 성별로는 남학생이 평균 37점, 여학생이 평균 40점으로 남학생보다 여학생이 성취 수준이 높았다.

OECD 국가 학생들의 평균은 60점 만점에 33점으로, 한국 학생들보다 평균 5점이 낮았다. 기초 수준 이상에 해당하는 비율은 78.3%였다. 상위 성취 수준 비율은 27%에 불과했다. 성별로는 남학생이 평균 31점, 여학생이 평균 34점으로 한국 학생들과 마찬가지로 남학생보다 여학생들이 평균 점수가 높았다.

OECD 국가 중 한국보다 순위가 높거나 비슷한 국가는 캐나다, 호주, 뉴질랜드 등이다. 캐나다는 평균 점수 38점으로 캐나다 학생 88.8%가 기초 수준 이상에 해당했다. 상위 성취 수준 비율은 44.8%였다. 호주는 평균 점수 37점, 뉴질랜드는 평균 점수 36점을 기록했다.

OECD 국가가 아닌 싱가포르는 평균 점수 41점으로 한국에 비해 높았다. 기초 수준 이상에 해당하는 학생 비율은 94.4%였다. 상위 성취 수준 비율은 57.8%였다. 각각 한국 학생에 비해 4.4%p, 11.8%p가 더 많았다.

◆ 부모의 경제‧사회적이 미치는 영향력, OECD 국가보다 낮아

한국 학생들은 경제‧사회‧문화적 배경이 창의적 사고력 점수에 미치는 영향도 OECD 평균보다 낮게 나타났다. 이는 부모의 직업‧교육 수준‧자산 수준 등의 영향력이 비교적 작다는 의미다.

한국 학생들의 창의적 사고력에 미치는 배경 환경의 영향은 6.4%로 조사됐다. OECD 국가 평균은 11.6%다. 우리나라가 5.4%p 더 낮은 것이다.

우리나라보다 순위가 높은 싱가포르는 학생의 창의적 사고력에 미치는 배경 환경 영향이 14.1%로 나타났다. 캐나다는 6.6%, 호주는 9.6%, 뉴질랜드는 17.1%가 학생의 창의적 사고력에 미치는 배경 환경 비율로 조사됐다.

[사진=교육부 제공]

반면 한국 학생들의 '창의적 사고력 자아효능감' 지수는 OECD 평균(0.00)보다 0.13 낮았다. 창의적 사고력 자아효능감은 창의력을 발휘하는 과제 수행에 대한 자신감을 의미한다.

교육부는 창의적 사고력 점수가 높은 나라에서 자아효능감 지수가 낮게 나타나는 경향이 있다고 설명했다. 또 학생들이 창의적 과제를 수행하는데 더욱 자신감을 가질 수 있도록 학교 현장에서 수업 혁신‧창의적 체험활동 등을 강화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창의적 학교 환경' 지수와 '창의적 학교 활동 참여' 지수는 0.35로 OECD 평균(0.00)보다 높았다. 각각 학생의 창의성을 제고하기 위해 학교가 수행하는 지원, 창의적 글쓰기 수업·활동, 동아리 활동 등의 참여 빈도 등을 의미한다.

창의력 사고력 평가는 다양한 아이디어 만들기, 독창적 아이디어 만들기, 아이디어 평가하고 개선하는 '아이디어 형성 과정'과 '글로 써서 표현, 시각 표현, 사회적 문제해결, 과학적 문제 해결' 영역을 평가하는 문항으로 구성됐다.

글로 써서 표현하는 영역에서는 '하나의 그림을 보고 세 개의 다른 제목 만들기' 문항, 사회적 문제 해결 영역에서는 '휠체어 사용자용 경사로 설치를 위한 독창적인 방법 제시하기' 등이다.

교육부는 "이번 결과를 바탕으로 인공지능(AI) 디지털교과서 도입, 학생 참여형 탐구 수업 확대 등을 통해 학생들의 창의적 사고력을 높여 나가기 위해 지속해서 노력할 예정"이라고 했다.

chogiza@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