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연합뉴스)

 

글로벌 전자상거래 시장이 최근 몇 년간 급격한 성장을 보인 가운데, 중국의 주요 C커머스 기업들이 그 중심에 서 있다. 

 

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는 최근 5년간(2018~2023) 글로벌 e커머스 시장 현황을 분석한 결과를 발표했다.

글로벌 e커머스 시장은 2018년 2조9000억 달러에서 2023년 5조8000억 달러로 두 배 성장했다. 연평균 성장률은 14.6%로 전체 소매업 성장률(4.4%)의 약 세 배에 달했다.
 

(사진=한경협)


특히 중국의 징동닷컴, 알리바바, 핀둬둬 등 주요 C커머스 기업들은 이 기간 동안 매출액이 평균 연 41%씩 증가해 글로벌 평균을 훨씬 웃돌았다.

지난 2023년 기준 글로벌 e커머스 기업 순위에서는 ▲아마존(美)이 선두를 지켰고 그 뒤를 ▲2위 징동닷컴(中) ▲3위 알리바바(中) ▲4위 핀둬둬(中) ▲5위 쿠팡(韓)이 차지했다. 상위 다섯 기업 중 세 곳이 중국 기업으로 나타나며 중국의 강력한 시장 영향력을 보여준다.

최근 5년 동안 중국의 주요 C커머스 기업들이 급격한 성장을 보였다. 징동, 알리바바, 핀둬둬의 매출액 증가율은 각각 18%, 26%, 79%로 나타났다.

◇ 한국 해외 전자상거래 적자...중국 플랫폼 영향

한국도 이러한 변화에서 자유롭지 않다. 테무와 같은 중국 플랫폼의 국내 진출로 한국의 해외 전자상거래 적자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지난해 한국의 중국 플랫폼을 통한 구매는 전년 대비 121% 증가했으며 이는 미국을 처음으로 추월한 수치다.

한국의 해외 전자상거래는 2021년부터 적자로 전환되었고 그 적자 폭은 계속해서 확대되어 올해는 5.1조 원에 달했다.

테무와 같은 중국 C커머스 플랫폼들이 국내 시장에 빠르게 진입하면서 한국의 e커머스 시장에도 큰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쿠팡은 국내 e커머스 플랫폼 순위에서 여전히 선두를 지키고 있지만 알리익스프레스와 테무가 빠르게 상승하며 주요 자리를 차지하고 있다.

중국 C커머스 플랫폼들은 월간 사용자 수 기준 국내 e커머스 플랫폼 순위는 2023년 이후 불과 1년 6개월도 안 된 시점에서 11번가, G마켓 등 한국의 주요 플랫폼들을 추월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 한경협)

 

2023년 1월의 국내 e커머스 플랫폼 순위는 1~4위에 한국 기업들이 포진했었다. 지난해 5월에는 ▲1위 쿠팡 ▲2위 알리익스프레스 ▲3위 11번가 ▲4위 테무(2023년 7월 한국 진출) ▲5위 G마켓으로 중국기업에게 2위와 4위 자리를 내주었다. 특히 테무가 급성세를 보였다.

◇ 중국의 국내 유통시장 장악 우려와 대응방안의 필요성

한경협은 국내 유통산업 정책을 개선하고 소비자 보호를 강화하면서 중소 유통 및 제조사를 지원하는 등의 대응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규제 중심의 유통산업발전법을 경쟁력 강화 중심으로 개정해야 하며 대형마트와 준대규모점포에 대한 공휴일 의무 휴업과 영업시간 제한 등의 규제를 완화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또한 외국 온라인 플랫폼에 대한 소비자 보호 의무 이행 현황 점검을 강화해 가짜 상품 및 개인정보 침해 등의 피해를 최소화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특히 중국의 국가정보법에 따라 정보 유출 가능성도 고려해야 할 중요한 요소라고 밝혔다.

앞서 지난달 16일 공정거래위원회는 플랫폼법 재추진 계획을 밝힌 바 있다. 공정위는 승자독식 현상이 강하게 나타나는 플랫폼 시장의 특성상 강력한 규율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그러나 플랫폼 업계는 새로운 플랫폼법이 시행될 경우 산업이 더욱 위축될 수 있다는 우려를 제기하고 있다. 또 자국 기업에 대한 제재를 강화하면서 역차별을 하고 있다는 비판도 나오고 있다.

각국 정부가 자국 플랫폼 보호를 강화하는 추세 속에서 한국만이 자국 플랫폼의 성장을 방해하고 있다는 지적도 있다.

업계 관계자는 플랫폼법이 법이 시행되면 미국이나 중국 기업을 규제할 수 없고 결국 소비자가 피해를 입게 될 것이라 우려한 바 있다.

한경협은 국내 유통산업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유통플랫폼 고도화와 인프라 구축 지원도 병행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한 중소 제조사의 브랜드 제고와 품질 향상을 위한 지원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한경협 관계자는 "몸에 해로운 식·의약품과 가짜 상품, 청소년 유해 매체, 개인정보 침해와 같은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외국 플랫폼의 소비자 보호 의무 이행현황 점검을 강화해야 하고 정보 유출 우려도 존재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