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조준경 기자 = 한국환자단체연합회(연합회, 대표 안기종)가 대한의사협회가 정부에 대화 조건으로 '3대 요구안'을 제시한 것에 대해 "환자들의 치료와 안전에 대한 고려가 일절 없음을 여실히 보여줬다"며 의료계의 전면휴진 움직임을 비판했다.

연합회는 17일 성명을 통해 의협과 서울대병원 교수들의 전면휴진 방식의 대정부 투쟁에 정당성이 없다고 주장했다. 

[서울=뉴스핌]

의협은 전날인 16일 정부에 이른바 '3대 요구안(▲의대정원 증원안 재논의 ▲필수의료 정책패키지의 쟁점 사안을 수정·보완 ▲전공의, 의대생 관련 모든 행정명령 및 처분을 즉각 소급 취소하고 사법처리 위협 중단)'을 제시하고, 밤 11시까지 답변을 요구했다.

의협은 정부가 3대 요구안을 수용하지 않으면 예정대로 오는 18일부터 집단 휴진을 진행하고, 수용하면 집단 휴진 보류 여부를 전 회원 투표로 다시 결정하겠다고 밝혔다. 

서울의대-서울대병원 교수협의회 비상대책위원회(서울의대 비대위) 역시 예정대로 17일부터 무기한 전체 휴진을 강행할 것임을 전했다.

연합회는 "의료정책의 수혜자이자 주체여야 하는 환자들은 현시점에서 의대정원 증원을 원점에서 재논의하는 것에 동의할 수 없다"며 "지난 수십 년간 의대정원 증원 관련 사회적 논의가 진행될 때마다 의료계는 언제나 반대해왔다는 점을 감안하면, 의협의 '원점 재논의' 요구는 '증원 원천 반대'를 의미하는 것과 다름없다"고 비판했다.

서울의대 비대위가 지난 10일 발표한 입장문('서울의대 비대위의 무기한 전체 휴진 결의에 대한 환자단체연합회 입장문')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연합회는 "해당 입장문에는 의협과 달리 의료공백 장기화 사태에 불안한 환자들의 상황과 처지를 고려한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면서도, "그러나 그와 같은 의도와 진심을 십분 이해하더라도, 그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무기한 전체 휴진'이라는 선택을 꼭 했어야 하는지 이해하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전공의 9천여 명이 4개월 이상 의료현장을 이탈한 상황에서 의대교수 마저 무기한 전체 휴진에 돌입하면, 의료공백으로 인한 환자 불안과 피해는 더욱 커질 것이고 환자안전도 더욱 악화할 것"이라며, "정부를 압박하는 도구가 환자의 불안과 피해라면 그 어떤 이유도 명분도 정당화될 수 없다"고 강조했다.

 calebcao@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