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김승현 기자 =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12일 "기아차는 카자흐스탄 현지 기업 Allur그룹과 2억8000만 달러 합작투자를 해서 연 7만대 생산능력을 가진 자동차 조립공장(CKD)을 건설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이 공장은 올해 3분기 중 완공되고, 내년 2분기부터 양산에 들어갈 계획"이라고 했다.

카자흐스탄을 국빈 방문 중인 윤석열 대통령은 이날 수도 아스타나에서 카심 조마르트 토카예프 카자흐 대통령과의 정상회담 후 비즈니스 포럼을 개최했다.

[서울=뉴스핌]윤석열 대통령이 11일(현지시간) 카자흐스탄 아스타나의 한 호텔에서 열린 고려인 동포·재외국민 초청 간담회에 참석해 격려사를 하고 있다.[사진=대통령실]2024.06.12photo@newspim.com

안 장관은 이후 서면 브리핑에서 "양국은 앞으로 '핵심광물 공급망 협력 파트너쉽 MOU'에 따라 공동탐사부터 개발, 정․제련, 가공까지 전 주기적인 협력을 추진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카자흐스탄은 핵심광물 매장량 중 크롬 1위, 우라늄 2위, 아연 6위, 구리 12위를 차지하고 있는 나라다.

안 장관은 "이 분야에서 가시적인 협력 성과 도출을 위해 양국은 '한-카자흐스탄 핵심광물 공급망 대화(수석대표 차관보)'를 개설해 긴밀한 협의를 지속해 나가기로 했다"며 "앞으로 공급망 대화 운영으로 리튬, 크롬 등 우리나라 산업에 필요한 기초소재 공급망 확보 관련 협력이 확대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했다.

안 장관은 한국지질자원연구원, SK에코플랜트, 카자흐스탄 산업건설부, 타우켄 삼룩(삼룩카즈나 광업 자회사) 4자 간 체결한 리튬 광산 탐사, 개발 협력 MOU의 배경과 의미에 대해 "지질자원연구원은 2022년부터 카자흐스탄 동쪽에 위치한 '바케노에' 리튬 광산에 대해 공동 탐사를 진행해 왔다"고 했다.

이어 "바케노에 광산 중 일부는 민간이 광업권을 소유해 정부와 분쟁이 있었는데, 카자흐스탄 정부가 최근에 광업권 분쟁 소송에서 승소하면서 양국 간 리튬 탐사 및 개발 협력사업이 추진될 수 있는 여건이 마련됐다"고 했다.

대통령실에 따르면 카자흐스탄 정부는 2024년 5월 광업권 분쟁 승소에 따라 2024년 하반기 중 2차 정밀조사, 2025년 시추조사 및 매장량 확인, 2025년 경제성 평가, 2026~2028년 수익성 예상 시 리튬 개발사업을 본격화한다는 계획이다.

안 장관은 "앞으로 지질자원연구원과 카자흐 산업건설부 등이 협력해서 리튬 탐사를 진행하고 경제성이 있다고 판단되면, SK에코플랜트가 리튬 생산, 정·제련에 필요한 플랜트 건설에 참여하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며 "이 사업이 계획대로 진행되면 배터리 핵심소재인 리튬 공급망 확보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했다.

안 장관은 전력 에너지 및 플랜트 분야 협력에 대해 "카자흐스탄 정부는 2060년 NET ZERO 달성과 2030년 온실가스 15% 감축을 위해 석탄발전을 고효율·저탄소화하고 재생에너지를 확대하는 에너지 전환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고 했다.

이어 "그러나 석탄화력발전 비중이 86%에 달하고, 20년 이상 운전된 설비가 65%를 차지하고 있어 친환경 에너지 전환에 해야 할 일이 많은 상황"이라며 "두산에너빌리티와 한전 KPS 등 우리 기업들은 화력발전소에서 나오는 질소산화물(NOX), 황산화물(SOX), 미세먼지 등 환경오염물질 배출을 줄여주는 친환경설비 구축에 많은 경험과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어 양국 간 이 분야 협력 잠재력이 높다"고 말했다.

이어 "이번에 체결된 정부 간 전력산업 협력 MOU와 기업 간(두산에너빌리티-삼룩카즈나) 카자흐스탄 전력산업 발전 협력에 관한 MOU는 우리 기업들의 화력발전소 친환경설비 사업 참여 기회를 확대하고, 신재쟁에너지 분야 협력 확대 기반을 마련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현재 우리 기업들이 카자흐스탄 측과 협의 중인 여러 건의 화력발전소 관련 친환경설비 프로젝트 수주가 예상되며, 카자흐스탄 정부의 친환경 에너지 전환 정책추진에도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고 했다.

안 장관은 자동차 분야 협력에 대해 "카자흐스탄 자동차 시장은 지난해 약 20만 대 규모로 시장 규모가 매년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며 "현대차와 기아차는 카자흐스탄 자동차시장에서 36%의 시장점유율을 보유하고 있으며, 시장에서 국가순위 1위를 차지하고 있다"고 했다.

이어 "기아차는 이러한 자동차 시장 성장세를 고려해 카자흐스탄 현지 기업 Allur그룹과 2.8억 달러(기아차 1.4억 달러) 합작투자를 해서 연 7만 대 생산능력을 가진 자동차 조립공장(CKD)을 건설하고 있다"며 "이 공장은 올해 3분기 중 완공되고, 내년 2분기부터 양산에 들어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안 장관은 "자동차 양산이 시작되면 협력업체 진출도 이뤄지면서 카자흐스탄 자동차 생태계 구축에 기여하고, 앞으로 양국 간 산업 협력에 새로운 장을 열어 나갈 것으로 기대된다"고 했다.

안 장관은 "이번에 기아차는 새로운 공장 운영에 필요한 전문인력을 공급받기 위해 나자르바예프 대학(한국 KAIST와 유사)과 산업인력 양성 및 협력에 관한 MOU를 체결했으며 앞으로 산학협력의 새로운 모델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며 "새로운 공장에서 본격적으로 자동차 생산이 이뤄지면 한국에서의 자동차부품 수출도 확대돼 양국 간 교역 확대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kimsh@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