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뉴스핌] 김민정 특파원 = 5월 고용 지표가 월가 기대치를 크게 웃돌면서 9월 금리 인하 기대가 후퇴했다. 다른 고용 및 제조업 등 경제 지표가 약세를 보이면서 연방준비제도(Fed)가 9월 금리를 내릴 것으로 기대했던 시장에서는 다시 금리 인하 예상 시점이 11월로 밀렸다.

7일(현지시간) 시카고상업거래소(CME) 그룹 페드워치(FedWatch)에 따르면 연방기금(FF) 금리 선물시장 참가자들은 오는 9월 금리 인하 가능성을 50.8%로 반영 중이다. 전날까지만 해도 시장 참가자들은 9월 금리 인하 확률을 70%로 반영했었다.

시장은 11월에나 금리 인하가 시작될 것이라는 기대를 높였다. 현재 금융시장에서는 11월 피벗(통화정책 기조 전환) 확률이 47.4%로 나타나고 있다.

이처럼 금리 인하 기대가 후퇴한 것은 진정될 것으로 예상됐던 고용시장의 열기가 꺾이지 않았기 때문이다. 미 노동부는 5월 비농업 부문의 신규 고용이 27만2000건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는 금융시장 전문가 기대치 18만5000건을 크게 상회한 수치다. 전문가 기대치가 12만~25만8000건이었다는 사실을 감안하면 실제 수치는 예상치 상단도 웃돌았다. 5월 신규 고용 건수는 지난 1년간 월 평균치 23만2000건보다도 많았다.

실업률은 4.0%로 전달보다 0.1%포인트 상승했지만, 시간당 평균임금은 전월 대비 0.4% 올라 4월 0.2%보다 오름세가 빨라졌다. 전년 대비로는 4.1% 상승해 4월 4.0%보다 소폭 빠른 속도로 올랐다. 경제 전문가들은 임금 상승률이 3.0~3.5%로 낮아져야 연준의 인플레이션 목표치인 2%를 달성할 수 있다고 본다.

제롬 파월 미 연방준비제도(Fed) 의장.[사진=로이터 뉴스핌] 2024.06.08 mj72284@newspim.com

코메리카 뱅크의 빌 애덤스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임금 증가율 상승은 연준이 브레이크에서 발을 떼면 인플레이션 압력이 재개될 조짐"이라면서 "반면 높은 실업률은 앞으로 약한 임금 증가율과 소비자 수요, 기업들의 가격 결정력 약화와 이에 따른 인플레이션 하락을 나타낼 수 있다"고 진단했다.

7월 금리 인하 주장을 꺾지 않았던 씨티그룹과 JP모간 체이스는 이날 고용 지표 발표 후 곧바로 이 같은 전망을 철회했다. 씨티의 앤드루 홀렌호스트 수석 미국 이코노미스트는 "우리는 첫 금리 인하 기대 시점을 7월에서 9월로 옮긴다"면서 고용시장과 미국 경제가 모두 함께 둔화하고 있지만 지난달 놀라울 정도로 강력한 일자리 증가는 경제활동 및 인플레이션의 둔화를 기다리며 연준의 손을 묶어 놓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JP모간의 마이클 페롤리 수석 미국 이코노미스트 역시 "최근 일자리 증가 모멘텀은 연준이 금리 인하를 정당화할 만한 전반적인 고용시장 약세가 현실화하려면 석 달 이상은 걸릴 것 같다"고 판단했다.

시장에서는 올해 금리 인하 횟수 예측치도 최근 2차례에서 이날 1차례로 줄었다. 연준 위원들은 지난 3월까지만 해도 올해 3차례 금리 인하 가능성에 무게를 뒀지만, 연초 고착된 인플레이션과 견조한 고용 지표로 사실상 금리 인하가 지연될 것으로 평가했다. 연준 내 매파적인 인사들은 올해 금리 인하가 이뤄지지 않을 가능성도 배제하지 않는다.

최근 내림세를 이어가던 국채 금리는 통화정책 완화 기대가 후퇴하면서 급등하고 있다. 뉴욕 채권시장에서 오후 2시 23분 10년 만기 미 국채금리는 전날보다 14.7bp(1bp=0.01%포인트) 오른 4.428%를 기록했다. 정책 금리에 민감한 2년물은 15.2bp 상승한 4.872%를 나타냈다. 채권 금리는 가격과 반대로 움직인다.

시장의 시선은 오는 12일 노동부가 발표하는 5월 소비자물가지수(CPI)로 옮겨가고 있다. 경제 전문가들은 5월 CPI 상승률이 전년 대비 3.4%로 4월과 같을 것으로 예측했으며 근원 CPI 상승률은 3.5%로 4월 3.6%보다 다소 내렸을 것으로 기대한다.

인플레이션 지표가 예상보다 큰 완화 흐름을 보일 경우 시장에서는 다시 9월 금리 인하 전망이 부각될 수 있다. 웰스파고 투자 연구소의 폴 크리스토퍼 글로벌 시장 전략 책임자는 "시장은 연준이 금리 인하를 시작하기 위해 12월이나 1월까지 기다릴 필요가 없다는 점을 명확히 하길 원한다"며 "장기간의 차입비용 상승은 경제에 타격을 줄 수 있다"고 설명했다.

mj72284@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