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채송무 기자 = 한국경영자총협회(이하 경총)는 전국 스타트업 300개사(응답 기업 기준)를 대상으로 스타트업 규제 및 경영환경 실태조사를 실시한 결과, 응답 기업의 64.3%가 규제로 인한 애로를 경험한 적이 있다고 6일 발표했다.

[서울=뉴스핌] 채송무 기자 = 한국경영자총협회(이하 경총)는 전국 스타트업 300개사(응답 기업 기준)를 대상으로 스타트업 규제 및 경영환경 실태조사를 실시했다. [사진=경총]2024.06.06 dedanhi@newspim.com

응답 기업의 57.0%는 '우리나라가 경쟁국인 미국, 일본, 중국과 '규제 수준이 유사하다'고 말했고, 37.7%는 경쟁국보다 '스타트업 규제 수준이 높다'고 답했다. '규제 수준이 낮다'는 응답은 5.3%로 나타났다.

스타트업은 가장 큰 경영상 애로에 대해 '투자 재원 축소, 자금 조달 및 관리의 어려움'을 71.3%로 가장 높게 답했고, '신기술 발전 속도를 따라가지 못하는 법률·제도'라는 응답이 다음인 44.7%로 높게 집계됐다(복수 응답).

응답 기업의 61.0%는 '올해 신규 투자 계획이 없다'고 답했고, 채용에 대해서도 응답 기업의 60.3%가 '올해 신규 채용 계획이 없다'고 답했다.

[서울=뉴스핌] 채송무 기자 = 한국경영자총협회(이하 경총)는 전국 스타트업 300개사(응답 기업 기준)를 대상으로 스타트업 규제 및 경영환경 실태조사를 실시했다. [사진=경총] 2024.06.06 dedanhi@newspim.com

스타트업들은 신기술을 활용한 신제품·서비스가 출시될 때 일정 기간 규제를 면제·유예하는 규제 샌드박스 제도에 대해 불만족하는 목소리가 높았다. 응답 기업의 54.7%는 '불만족한다'를 선택했으며 '모르겠다'는 응답이 25.6%, '만족한다'는 응답은 19.7%에 그쳤다.

규제 샌드박스 제도에 불만족하는 기업에게 그 이유를 물은 결과, '신청 후 승인까지 행정처리기간이 길다'는 응답이 61.6%로 가장 높았고, '규제 면제·유예 기간이 최대 4년으로 짧다'는 응답이 51.8%, '지켜야 하는 부가조건이 많다'는 응답이 44.5% 순으로 집계됐다.

[서울=뉴스핌] 채송무 기자 = 한국경영자총협회(이하 경총)는 전국 스타트업 300개사(응답 기업 기준)를 대상으로 스타트업 규제 및 경영환경 실태조사를 실시했다. [사진=경총] 2024.06.06 dedanhi@newspim.com

국내 스타트업 활성화를 위해 개선이 시급한 규제 분야는 '진입 규제(등록·허가, 기존 업역 체계의 기준·요건 등)'라는 답변이 49.7%, '노동 규제(임금, 근로시간, 노사관계 등)'라는 답변이 49.0%로 높게 나타났다.

그 외 응답은 '개인정보보호 규제' 35.7%, '환경 규제' 26.3%, '안전 규제' 22.7%, '신기술 개발·사업화 관련 규제' 12.3% 순으로 집계됐다.

스타트업 경쟁력 제고를 위한 대안에 대해 응답 기업의 82.0%는 '성장 단계별 정부 지원금 및 융자 지원 확대'라고 답했고, 다음으로 '혁신을 가로막는 규제의 과감한 폐지·개선'이라는 응답이 53.3%, '해외 판로 개척·발굴 등 글로벌 시장 진출 지원'이라는 응답이 41.3%로 나타났다.

김재현 경총 규제개혁팀장은 "글로벌 시장에서 당당하게 경쟁할 수 있는 스타트업을 발굴·육성하기 위해서는 성장 단계별 정부 지원책을 더욱 강화하고, 혁신을 가로막는 규제를 과감하고 획기적으로 개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dedanhi@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