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뉴스핌] 김보영 기자 = 행정안전부와 산림청은 지난 1월 1일부터 산불조심기간 종료일인 5월 15일까지 발생한 산불에 대한 피해 현황을 4일 발표했다.

그 결과 해당 기간 발생한 산불의 피해 건수는 175건, 피해 면적은 73㏊였다. 이는 최근 10년간 발생한 산불의 평균 피해 건수 416건, 피해 면적 3865㏊과 비교했을 때 각각 58%, 98% 감소한 것이다.

포스터=산림청 제공

해당 기간 발생한 산불 피해 면적은 73ha, 피해 건수는 175건이다. 이는 최근 10년간 발생한 산불의 평균 대비 피해 면적은 98%, 발생 건수는 58% 감소한 것이다. 특히, 피해 면적은 1986년 산불통계 작성 이후 역대 2번째로 최소 피해를 기록했다.

올해 발생한 산불은 건당 산불 피해 면적이 0.4ha로 최근 10년 평균(9.3ha) 대비 4% 수준이며 연례적인 대형산불도 발생하지 않았다. 주요 산불 발생 원인으로는(원인 미상 제외) 불법소각 42건(26%), 입산자 실화 31건(20%), 담뱃불 실화 27건(17%), 화목보일러 사용 부주의 21건(13%), 작업장 부주의 실화 10건(6%) 등이다.

정부는 올해 봄철 산불 피해 최소화를 위해 지자체와 함께 다양한 대책을 추진해왔다.

행안부는 논·밭두렁 태우기나 영농 부산물 소각 등 불법 소각 행위를 차단하기 위해 전년보다 약 8배 많은 영농 부산물 11만7000t을 수거·파쇄했다. 파쇄기 및 산불 진화 장비 확충 등을 위해 특별교부세 100억원도 선제적으로 지원했다.

지자체는 '불법소각 산불방지 대응반'을 구성해 농산촌 마을별 담당공무원이 마을이장단, 자율방재단 등과 협업해 고령 농업인 등 취약계층 대상으로 현장 계도활동과 산불예방 홍보활동을 전개해 소각산불을 대폭 감소하는데 기여했다.

아울러 행안부와 산림청은 산불 신고 즉시 신고 내용이 산림청으로 전달되도록 '긴급신고통합시스템'을 개선해 신고·접수 시간을 평균 3분 이상 단축하고 산림청은 유관기관 감시카메라 7574대 활용해 신속하게 산불에 초동 대응이 가능하도록 했다.

이와 함께 올해 처음 도입된 해외 대형 임차 헬기 7개도 주요 지역에 배치했다. 동해안 위험 지역은 산림 헬기 전진 배치와 산불 유관기관 헬기 공조 체계 구축으로 평균 약 2시간 내에 산불 진화에 성공하는 등 피해감소에 기여했다.

이외에도 동시다발 대형산불 신속 대응 위해 12회에 거쳐 범부처 회의를 개최해 산불대응기관 준비태세 점검을 33회 실시했다. 또한 극한 산불상황에 대비해 합동 도상훈련을 실시하는 등 범부처가 협력해 산불재난을 막기 위해 총력 대응했다.

이상민 행안부 장관은 "관계기관과 지자체가 협력해 철저한 산불 대비 태세를 구축하고 국민이 적극적 산불 예방에 참여한 결과 봄철 산불 피해가 줄어들 수 있었다"면서 "앞으로도 정부는 산불 예방과 신속한 대응을 위해 관계기관 및 지자체와 긴밀한 공조 체계를 구축해 산불방지에 총력을 다하겠다"고 말다.

kboyu@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