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스턴=뉴스핌] 고인원 특파원= 한 주의 첫날 뉴욕증시 개장 전 미 주가지수 선물 가격은 혼조세다. 미 국채 금리 하락 속 지난 주말 약세를 보였던 대형 기술주가 일제히 반등하며 나스닥과 S&P500 지수가 상승하고 있는 반면, 다우지수 선물은 약보합에 머물고 있다. 

미국 동부 시간으로 3일 오전 8시 5분 기준 미국 시카고상업거래소(CME)에서 E-미니 다우 선물은 전장 대비 4.00포인트(0.01%) 내린 3만8787.00을 가리키고 있다. E-미니 S&P500 선물은 10.25포인트(0.19%) 상승한 5305.75, E-미니 나스닥100 선물은 88.00포인트(0.47%) 오른 1만8679.00에 거래 중이다.

뉴욕증권거래소(NYSE) 트레이더.[사진=로이터 뉴스핌] 2024.04.18 mj72284@newspim.com

뉴욕증시 반도체 대장주 엔비디아는 이날 개장 전 주가가 3% 넘게 오르고 있다.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가 주말 2026년 출시할 차세대 그래픽처리장치(GPU)인 '루빈'을 공개한 영향으로 풀이된다. 앞서 3월 공개한 GPU '블랙웰'이 아직 시중에 나오지도 않은 상황에서 불과 3개월 만에 성능을 강화한 후속작을 공개하며 투자자들의 기대를 높였다.

연내 금리인하 기대 위축 속 지난주 급등했던 미 국채 금리가 일제히 하락하는 가운데 애플(AAPL), 아마존(AMZN), 마이크로소프트(MSFT) 등 대형 기술주의 주가도 소폭 상승하고 있다.

지난주 뉴욕 증시의 주요 지수는 일제히 하락세로 장을 마쳤다. S&P500과 나스닥은 6주 만에 하락했고, 다우지수는 2주 연속 하락세를 이어갔다. 지난주 실적을 발표한 고객관계관리(CRM) 소프트웨어 기업 세일즈포스와 하드웨어업체 델이 실적 부진 우려에 주가가 10% 이상 빠지며 기술주 전반을 둘러싼 투자 심리가 악화했다. 

두 기업 모두 생성형 인공지능(AI) 제품에 중점을 두고 있지만 분기 실적을 살펴본 시장은 AI 관련 매출이 실질적인 회사의 이익에 크게 기여하고 있지 못하다고 판단했고, 이는 그간 시장을 주도해 온 AI 관련주의 고점 우려를 자극했다. 

지난주 관심을 모았던 4월 근원 개인소비지출(PCE) 물가지수 상승세가 소폭이나마 둔화하며 인플레이션 고착화 우려는 완화했으나, 인플레이션을 감안한 실질 소비가 전월 대비 0.1% 감소하는 등 미 경제를 사실상 떠받치는 소비 둔화 조짐에도 시장은 경계심을 보였다.  

30일 발표된 올해 1분기 미국의 실질 GDP가 전 분기 대비 1.3%(연율 기준) 증가로 속보치(1.6%)에서 하향 됐고, 경기 바로미터로 불리는 다우 운송지수의 부진도 경기 둔화 가능성에 힘을 실었다.

철도와 항공, 배송 업체 종목으로 구성된 다우 운송 지수는 지난 2021년 11월 최고치를 회복하지 못했으며 그보다 12%가량 낮은 수준이다.

호라이즌 인베스트먼트 서비스의 척 칼슨 최고경영자(CEO)는 "다우 운송 지수는 미래 경제 활동의 바로미터"라면서 "침체가 임박했다는 신호는 아니지만 앞으로 경기가 둔화할 가능성이 있다"고 진단했다.

COMPUTEX 행사서 연설 중인 젠슨 황 엔비디아 CEO [사진=로이터 뉴스핌] 2024.06.03 kwonjiun@newspim.com

이번 주 시장은 국채 금리의 향방을 눈여겨보며 고용 지표에 주목할 것으로 보인다. 지난 5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 회의 후 기자회견에서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이 "노동시장이 예상과 달리 둔화하면 금리 인하가 가능하다"고 언급한 만큼 시장에서는 고용 둔화 가능성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월스트리트저널(WSJ) 사전 조사에서 전문가들은 5월 비농업 신규 고용이 17만8000명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는 지난달(17만5000명 증가)보다는 소폭 높은 수준이지만 20만명을 밑돌면서 둔화 흐름이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이번 주 4일부터 대만에서 열리는 컴퓨터박람회(컴퓨텍스)2024에 엔비디아, 인텔, AMD 등 주요 빅테크기업업 수장들이 집결하는 가운데 AI 관련 새로운 소식이 나올지도 주목된다. 

경기 둔화를 둘러싼 우려가 커지며 시장은 이번 주 발표될 5월 제조업 및 서비스업 구매관리자지수(PMI)에도 높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 

3일에는 미국 5월 S&P글로벌 제조업 PMI와 공급관리협회(ISM) 제조업 PMI, 5일에는 S&P글로벌 서비스업 PMI와 ISM 서비스업 PMI가 각각 발표된다.

더불어 6일에는 유럽중앙은행(ECB)의 통화정책 회의가 예정돼 있다. 시장에서는 6월 ECB가 금리 인하에 나설 가능성을 높게 점치고 있다. ECB가 기준금리 인하에 나선다면 주요 7개국(G7) 가운데는 처음이다.

6월 이후의 행보를 둘러싼 불확실성이 여전히 높은 만큼 시장에서는 금리 결정 발표 후 이어질 크리스틴 라가르드 ECB 총재 발언에 특히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ECB는 작년 10월부터 지난달 회의까지 5회 연속 기준금리를 동결했다.

 

이날 개장 전 특징주로는 대포적인 '밈' 주식인 ▲게임스탑(종목명:GME)의 주가가 70% 넘게 급등하고 있다. 주말 '포효하는 야옹이'(roaring kitty)로 유명한 개인투자자 키스 길이 게임스탑의 주식과 옵션을 대거 보유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게시물을 공개한 후 주가가 급등했다. 또 다른 밈 주식 ▲AMC 엔터테인먼트(AMC) 주가도 26% 동반 상승 중이다.

엔비디아의 경쟁사인 반도체기업 ▲어드밴스드 마이크로 디바이스(AMD)는 컴퓨텍스2024에서 최신 AI 프로세서를 공개하고 경쟁사 엔비디아에 대항할 계획을 공개했고, 이에 개장 전 주가가 2% 가까이 상승하고 있다.

미국 영화 제작사 스카이댄스 미디어가 ▲파라마운트 글로벌(PARA)에 대한 인수 제안을 주당 15달러로 상향했다는 보도에 파라마운트의 주가는 시간 외 거래에서 6% 넘게 오르고 있다. 제안된 인수 가격은 지난 31일 종가에 약 26%의 프리미엄을 더한 수준이다.

koinwon@newspim.com